산후우울증을 극복하는 방법

산후우울증을 극복하는 방법

마지막 업데이트: 24 6월, 2018

아이의 탄생은 모든 엄마에게 가장 행복하며 잊을 수 없는 순간으로 남는다. 하지만 아이를 출산하고 명백한 이유 없이 우울증에 걸리는 여성들이 많다. 오늘은 산후우울증이 왜 일어나는지, 그리고 어떻게 산후우울증을 극복해야할지 함께 알아보도록 하자.

삶의 기이한 역설이라고도 할 수 있다. 두려운 마음으로 기다려왔던 출산이 끝나더라도, 여성들은 행복하지 않다. 오히려 여성들은 우울과 불안감을 느낀다. 왜 그럴까?

산후우울증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자주 발병한다. 일부 전문가들은 산후우울증에 걸리는 여성이 전체 산모 중 약 15%라고 한다. 일부 다른 전문가들은 40%가 넘는다고 한다. 물론 이와 관련된 과학적 근거가 있다. 

산후우울증의 원인

산후우울증은 호르몬 변화, 정서적 원인, 둘러싼 환경에 의해 발병한다. 대게 산후우울증은 한꺼번에 닥치는 여러 요인으로 촉발된다.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수치의 갑작스러운 변화가 예민한 여성들의 감정을 변화시킨다. 또한, 출생시 외상을 입거나 출산 후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다면 산후우울증에 걸릴 확률이 더욱 높아진다.

이런 경우 출산으로 감정이 복잡해지고 걱정과 책임감은 커질지라도 다른 변화들과 마찬가지로 이내 익숙해질 수 있음을 기억하자.

산후우울증을 극복하는 방법

우울증에 걸린 적이 있거나 주변 사람들이 적대적이라면 산후우울증에 걸릴 위험률이 훨씬 높아진다.

뿐만 아니라 경제적 어려움, 지지/도움 부족, 원치 않은 임신, 아이의 선천적 장애와 같이 산후우울증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매우 다양하다.

산후우울증의 흔한 증상

산후우울증에 걸리면 다음과 같은 증상을 함께 발견할 수 있다.

  • 우울한 기분과 계속 울고 싶은 마음
  • 짜증과 걱정
  • 불면증, 피로, 무기력
  • 식욕부진
  • 집중력 저하
  • 여가활동 의욕 부족
  • 대인관계 악화
  • 성욕 저하

산후우울증을 극복하는 방법

앞서 이야기한 것처럼 산후우울증은 매우 흔하게 발병하며 극복할 수 있다. 산후우울증을 제대로 극복하는 방법에 대하여 함께 알아보도록 하자.

전문가 상담

산후우울증에 걸렸다면 가장 먼저 전문가의 상담을 받아야 한다. 심리 치료사와 정신과 의사올바르게 증상을 인식하고 무엇이 필요한지 확인하여 가장 좋은 해결책을 제시할 것이다.

또한 우울증이 심각하다면, 치료를 위해 적절한 약을 처방받는 것이 중요하다. 항우울제는 뇌의 화학 균형을 통해 정서적 안정감을 가져다준다.

산후우울증을 극복하는 방법

지지

만일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지지해주지 않는다면, 직접 이야기를 하자. 연약하고 불안하다고 느낄 때 누군가가 자신과 아이를 돌봐줄 수 있다면 매우 편할 것이다. 감정을 표면화하자. 사랑하는 이에게 어떤 감정을 느끼고 있는지, 그 감정이 자신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지 설명하자.

여가 활동

일과 육아는 모두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며 산후우울증을 겪는 여성들은 더욱 극심하게 느낄 것이다. 한 시간 정도 시간을 내어 책을 읽고, 산책하러 가거나 운동을 하는 등 취미 생활을 하자.

휴식

스트레스를 주는 상황을 극복하는 것보다 더욱 좋은 방법은 없다. 쉴 수 있는 시간을 놓치지 말자. 이를 통해 힘을 다시 모으고 출산 후 매우 지치고 힘든 몸이 회복될 수 있도록 하자.

자존감

세상에 한 인간을 내보냈다는 것에 자부심을 느껴야 한다. 자신을 존중하고 가치를 상기시키자. 온종일 집에 있더라도 자신의 외모를 가꿔보자.

자신의 온전한 모습을 보면 자신의 정신적 삶도 되찾을 것이다.

안정 되찾기

산후우울증을 극복하기 위해 이 부분에 집중하자. 다른 것과 마찬가지로, 우울증을 극복하는 데엔 시간이 걸리지만, 어느 순간 성과를 보일 것이다. 자신의 신체, 사회, 감정 변화에 집중하자. 몸이 가장 먼저 회복되어야 한다.

하지만 다시 사교성을 되찾고 정서적 안정을 유지하려면 힘이 많이 들 수 있다.

인내심을 가지자. 모든 것이 곧 제자리로 돌아갈 것이다. 엄마가 되는 것은 끝없는 배움의 과정이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Evans, M., Vicuña, M., & Marín, R. (2003). Depresión postparto realidad en el sistema público de atención de salud. Revista chilena de obstetricia y ginecología, 68(6), 491-494.
  • Hasbún Hernández, J., Risco Neira, L., Jadresic Marinovic, E., Galleguillo U, T., González A, M., & Garay S, J. (1999). Depresión postparto: prevalencia y factores de riesgo. In Rev. chil. obstet. ginecol.
  • Medina, E. (2013). Diferencias entre la depresión postparto, la psicosis postparto y la tristeza postparto. Perinatología y Reproductiva Humana.
  • Mendoza, C., & Saldivia, S. (2015). Actualización en depresión postparto: el desafío permanente de optimizar su detección y abordaje. Revista médica de Chile, 143(7), 887-894. https://scielo.conicyt.cl/scielo.php?pid=S0034-98872015000700010&script=sci_arttext
  • Miranda Moreno, M. D., Bonilla García, A. M., & Rodríguez Villar, V. (2015). Depresión Postparto. Trances.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