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숙아의 법적 권리에 관하여
신생아가 일찍 세상에 태어나면 정상적으로 태어난 아기보다 신경 쓸 것이 많다. 건강상 문제 외에도 법적으로 보호받아야 할 존재이기 때문에 미숙아의 법적 권리에 관해 알아둘 필요가 있다.
신생아는 세상에서 충분히 생활할 준비가 되어 태어나며 성인과 똑같지는 않지만 나름대로 특징이 있다.
하지만 미숙아는 아직 준비가 덜 된 상태로 세상에 태어났기 때문에 특별한 주의와 관리가 필요하다.
정상아와 미숙아의 차이
신생아는 대부분 비슷하지만 정상아와 미숙아는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
더 읽어보기: 사랑을 통해 강해진 조산아들의 이야기
체중
정상아 체중은 보통 2.7kg~3.6kg 정도이며 미숙아는 2.7kg 이하인 경우가 많아서 몸 비율에도 많은 차이가 난다.
임신 기간
특별한 합병증이 없으면 정상적인 임신 기간은 37주~42주간이며 미숙아는 36주 이하의 기간을 보내고 태어난다.
체구
일반적으로 조산은 임신 중 엄마의 건강 상태 같은 여러 요소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임신 37주 이후 태어난 남아의 키는 46cm~51cm이며 여아도 비슷하다. 미숙아는 이보다 키가 2cm~3cm 정도 작은 편이다.
더 읽어보기: 초미숙아가 부모에게 전하는 감동과 위대한 사랑
체온
미숙아는 스스로 체온 조절을 할 수 없으므로 체온이 낮은 편이지만 임신 기간을 다 채우고 태어난 신생아는 출산 이틀 후부터 체온 조절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미숙아는 체온을 안정화할 보조 기기가 필요하다.
미숙아의 권리는 무엇인가?
아기는 성인의 축소판이 아니며 그런 식으로 대우해서도 안 된다. 아기를 전문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산부인과의나 소아과의가 미숙아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아기가 임신 개월 수를 채우지 못하고 태어나면 전문의는 부모에게 아기의 권리를 말해줘야 하며 미숙아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는 부모 대신 책임을 다할 수 있다.
다음은 미숙아의 권리 중 일부이다.
- 미숙아나 건강이 약한 신생아는 병원에서 필요한 도움을 모두 받아야 한다.
- 임산부는 미숙아의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진찰받아야 한다.
- 미숙아의 특별한 필요에 맞춰 양질의 의료 관리를 받을 권리가 있다.
- 미숙아는 신생아 실명과 같은 선천성 질병을 예방 받아야 할 권리가 있다.
- 미숙아 가족은 아기의 건강 상태에 관한 정보를 모두 알 권리가 있다.
- 미숙아의 가장 중요한 권리가 모유를 먹는 것이다. 모유는 미숙아의 성장발달을 돕고 다양한 질병을 예방한다.
미숙아는 정상적으로 태어난 아기보다 약한 면이 있다. 미숙아가 건강해지기 위해서는 의학적 도움과 가족의 정성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 글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