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 중 치질에 대하여
이 글에서는 출산 중 치질에 걸리는 원인과 그 통증을 완화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볼 것이다. 치질은 직장 또는 항문관에 위치한 정맥의 염증으로 인한 것이다. 이는 임신 중 매우 흔하게 발생하기도 하지만 분만 중 힘을 주는 과정에서 발생하기도 하다.
임신 중, 자궁 아래 정맥은 매우 쉽게 붓거나 확장될 수 있다. 자궁이 항문 부위의 정맥에 극심한 압력을 가해 그것이 치질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임신 또는 출산 중 생기는 것 이외에도 치질은 산후 변비로 인해 발생하기도 한다. 임신 중 신체에 필요했던 과도한 체액이 사라지고 모유가 분비되기 시작할 때 산후 변비를 경험하게 된다.
출산 중 치질에 걸리는 이유는?
치질은 분만 그리고 항문에 압력이 높아져서 발생하는 것일 수 있다. 하지만 다른 원인으로 인해 이러한 질병이 발병하기도 한다. 사실, 임신 중 여성이 경험하는 신체적 변화와 치질 유발 원인은 거의 같다.
임신 중 아기가 커짐에 따라 자궁 또한 커지게 된다. 이 과정은 혈액 순환 저하로 이어진다. 이러한 변화는 하체에 혈압을 상승 시켜 치질 발생으로 이어질 수 있다.
치질은 내부 또는 외부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직장 안에서 치질이 생기는 경우 그것은 내치핵이라고 부른다. 항문 외부에 생기는 경우는 외치핵으로 불린다.
또한, 출혈은 내치핵의 가장 확실한 증상이다. 정맥이 다시 직장으로 복귀되기 전 항문 밖까지 확장되었을 때 나타나는 증상이다.
더 읽어보기: 임신 중기에 임산부에게 나타나는 증상들
외치핵의 경우, 항문 근처 피부에 나타난다. 주로 2주 가량이 지나면 가라앉게 된다. 대부분의 임산부는 건강 유지를 위해 아연을 섭취한다. 하지만 이 영양분을 많은 양 섭취하는 것은 변비로 이어지게 된다. 이것은 치질 발생의 주요 요인 중 하나이다.
출산 중 치질에 걸리지 않는 방법
치질은 출산 중 힘을 주는 행위로 인한 것이다. 그리고 임신 이후 변비로 인해 발생하기도 한다. 다음은 그것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되는 몇 가지 방법이다.
1. 충분한 수분 섭취
무엇보다 임신 기간 동안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기 위해서는 물을 많이 마셔야 한다. 하루에 1.5-2리터 가량의 물을 마셔야 한다. 이것은 대변이 묽어지게 하고 좀 더 쉽게 대변을 볼 수 있도록 도와준다.
2. 식이섬유 함량이 높은 식습관 유지
식이섬유가 함유된 식습관은 변비 관련 질병을 치료하는 데 가장 좋은 방법이다. 과일, 채소, 곡물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예를 들어, 오렌지는 변비를 해소하는 가장 좋은 자연 설사약이다.
“임신 중 여성이 경험하는 신체 변화는 대부분 치질을 유발하는 것이다.”
3. 부정적인 감정을 제어하기 위해 노력한다
출산 전 경험하는 감정적 스트레스를 제어하고 불 필요한 불안감을 해소하는 것이 중요하다. 스트레스는 혈압 상승 효과를 가져오고 그것은 항문 정맥을 팽창 시킨다. 그로 인해 치질이 발생할 수 있다.
더 읽어보기: 임신 중 필요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4가지 수면 자세
4. 규칙적인 운동
마지막으로 임신 중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것은 어렵다는 사실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그렇다고 너무 오랜 시간 동안 앉아있으면 안된다.
산책은 혈압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은 물론 혈액의 흐름 향상에 도움이 된다. 따라서 치질 예방에 도움이 된다.
출산 이후, 이미 발생한 치질을 치료할 때는 염증 완화를 위해 국소 치료, 좌약, 크림, 국소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등이 필요하다. 그리고 소화 기능을 임신 전 정상 수준으로 되돌리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치질이 생긴 것은 엄마로서 자신의 건강을 돌봐야 한다는 신호임을 알아야 한다. 식습관, 수분 섭취, 운동에 좀 더 신경을 쓰고 감정적 스트레스 및 불안을 떨칠 수 있도록 노력한다.
그렇게 하면 치질로 고생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AMARILLO, H. R., & AMARILLO, H. A. (2009). Hemorroides y sus complicaciones. Cirugía digestiva. In. Buenos Aires, 1-17. http://www.sacd.org.ar/tsetentaycinco.pdf
- HEQUERA, J.A.; DEZANZO, V. (1997). Enfermedades Quirúrgicas de la Región Anal. Ed. Akadia. Buenos Aires. 105-107.
- Laurrieta-Saiz, I., Alonso-Salcines, A., Alconero-Camarero, A. R., Urquiza, M. T. G., Terán-Muñoz, O., & López-Mirones, M. (2015). Plan de cuidados estandarizado durante el puerperio inmediato del parto normal. Nuberos Científica, 2(15).
- Vila, J. V., & Armengol, J. G. (2012). GUÍA DE PRÁCTICA CLÍNICA: HEMORROIDES. Guía de Cirugía Colorrectal de la AEC, 64-74. http://ucpvalencia.es/wp-content/uploads/2015/10/Gu%C3%ADa-de-cuidados-Hemorroides.pdf
- WHITEHEAD, W. (1882). The surgical treatment of hemorrhoids. Br. Med. J. 1: 148-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