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질이 부족한 교사들의 공통적인 특성
오늘 이 글에서는 자질이 부족한 교사들이 공통으로 지니고 있는 특성에 대해 공유한다. 많은 교육자들은 학생들을 엄격하게 대해야만 더 열심히 공부하게 되므로 그것이 올바른 방법이라고 생각하는 잘못된 믿음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는 절대적으로 사실이 아니다.
엄한 교사일수록 학생들의 관심은 줄어든다. 실제로 학생들은 두려움을 느끼게 되고, 자신들의 미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갈등을 일으킬 수도 있다.
하지만 불행히도, 여전히 많은 교사들이 군인 스타일의 엄격한 교육 방법을 유지하고 있다. 이런 방법으로는 긍정적인 학습 경험을 창출하기 어렵다.
자질이 부족한 교사들의 공통적인 특성
항상 죄책감을 주고 두려움을 불러일으킨다
자질이 부족한 교사들은 학생들의 실패에 대해 폭로하고 심지어 조롱하기를 좋아한다. 또한, 부주의하게 좋지 않은 행동을 보이는 경향이 있어서 학생들의 학습 능력을 떨어뜨린다.
그래서 질문에 대답해야 할 때 학생들의 두려움은 더욱 커진다. 특히, 학생이 교사의 질문에 답할 때 실수할지도 모른다고 생각할 때 그렇다.
결과적으로 아이들은 일정 수준의 불신감을 쌓아가게 되고, 실수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수업에 참여하기를 꺼리게 된다.
더 읽어보기: 기본적인 환경은 아이의 교육 수준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참여를 장려하지 않고 지속적인 평가를 수행하지 않는다
자질이 부족한 교사들은 학생들의 참여에 그다지 신경을 쓰지 않는다. 대신 항상 수업을 완전하고 완벽하게 통제하기 원하며, 학생이 특정 주제에 대해 더 깊이 들어가고자 할 때 추가 설명을 제공하지도 않는다. 이런 교사들에 따르면 그렇게 하면 불필요한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고 한다.
또한, 이 교사들은 학생들이 학업 성과를 향상하기 위해 채택한 노력과 태도를 간과하는 게 일반적이다. 대신 그보다는 시험 성적으로만 성과를 평가한다.
전반적으로 열악한 성적에 대해 학생들을 비난한다
자질이 부족한 교사들은 학생이 나쁜 성적을 받는 이유를 진지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대신 그들은 나쁜 성적이 단순히 학생들의 주제에 대한 관심 부족 때문이라고 가정한다. 이런 교사들은 자신이 해야 할 교사의 역할이 무엇인지에 대해 자문하지 않는다.
시간을 내서 자기 계발을 하지 않는다
자질이 부족한 교사들은 교육 기술이나 수업 자료를 업데이트하지 않는다. 새로운 기술이나 교육학적 경향에 대한 최신 정보를 채택하지도 않는다. 게다가 많은 학생이 동일한 최신 및 고급 자료를 활용하지 못하게 한다.
더 읽어보기: 알파세대의 모든 것
책임자가 되고 싶어 한다
일부 교사들은 학생들과 일정 거리를 유지하게 되면 학생들이 그들을 권위 있는 사람으로 간주하게 되므로 학생 지도에 있어 유리한 고지에 있게 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학생들과 더 친밀한 관계를 맺는 교사들이 더 많은 존경과 존중을 받는다고 말한다. 또한, 그러한 교사들은 평생 지속할 수 있는 수준의 신뢰와 안도감을 학생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더 깊게 파고들지 않으려고 한다
지도 능력이 부족한 교사들은 학생들에게 기본적인 내용만 가르치는 데 관심을 둔다. 그래서 주제의 표면만 겉돈다. 또한 이런 교사들이 주는 두려움 때문에 학생들은 더 적절한 설명을 요구할 수 없게 된다.
아이들을 싫어한다
좋은 교사는 모든 학생에게 어느 정도 공감해 주고 수업을 즐겁게 하려고 노력한다. 하지만 아이들을 싫어하는 교사들도 있다. 과연 그들은 왜 아이들을 싫어할까?
- 초등학교에서 일부 교사들은 이 연령대 어린이들 일반적으로 나타내는 소리 지르기와 산만함을 용납하지 않는다.
- 고등학교에서는 교사가 주의를 기울이지 못하거나 다른 것에 더 관심을 가지는 학생들에 대해 좌절감을 느낄 수 있다.
- 많은 대학교수들은 저임금으로 인해 동기를 잃어가며, 자신들이 얻는 것에 비해 더 큰 희생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동기가 없다면 물론 결과는 뻔하다.
요약하자면, 자질이 부족한 교사들은 학생들에 대한 헌신이 부족하고 지식적인 면에 있어서 많은 약점을 가지고 있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Alcívar M, V., Cornejo A, N., & Izquierdo J, G. (2017). Docentes y estudiantes, la brecha generacional digital. Espirales Revista Multidisciplinaria de investigación, 1(7). Recuperado de: https://revistaespirales.com/index.php/es/article/view/228
- Bernal A., & Ibarrola S. (2015). Liderazgo del profesor: objetivo básico de la gestión educativa. Revista Iberoamericana de educación, 67, 55-70. Recuperado de: https://redined.educacion.gob.es/xmlui/bitstream/handle/11162/176939/v.67%20p%2055-70.pdf?sequence=1&isAllowed=y
- Edwards D. (1990). El papel del profesor en la construcción social del conocimiento. Revista Investigación en la Escuela, 10, 33-49. Recuperado de: https://idus.us.es/bitstream/handle/11441/59237/El%20papel%20del%20profesor%20en%20la%20construcci%c3%b3n%20social%20del%20conocimiento.pdf?sequence=1&isAllowed=y
- Feito R. (2004). ¿ En qué puede consistir ser “buen” profesor?”. Cuadernos de pedagogía, 332, 85-89. Recuperado de: http://didac.unizar.es/jlbernal/enlaces/pdf/61Feitobuen%20prof.pdf
- García A. (1992). Características del «buen profesor» universitario según estudiantes y profesores. https://digitum.um.es/digitum/handle/10201/94977
- Martínez J, U. (1988). El buen profesor. Conference: IX Congreso Nacional de Pedagogía. Recuperado de: https://www.researchgate.net/profile/Xavier-Ucar/publication/236590614_El_buen_profesor/links/0046351821aec49c4e000000/El-buen-profesor.pdf
- Martínez A, C. (2010). ¿ Cómo es el buen profesor universitario según el alumnado? Revista española de pedagogía, 223-242. Recuperado de: https://www.jstor.org/stable/23766298
- Mellado V. (2017). Las emociones en la formación del profesorado. Revista de investigación y experiencias didácticas, 32(3),11-36. Recuperado de: https://redined.educacion.gob.es/xmlui/handle/11162/164110
- Oliveira D, A., Gonçalves G, B., & Melo S, D. (2004). Cambios en la organización del trabajo docente. Consecuencias para los profesores. Revista Mexicana de Investigación Educativa, 9(20), 183-197. Recuperado de: https://dialnet.unirioja.es/servlet/articulo?codigo=9300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