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리 기간 중에는 왜 울고 싶어질까?

모든 여성이 생리 주기에 영향을 받는 것은 아니고, 무난히 생리 기간을 보내는 여성도 있지만 일부는 기간 내내 힘들어하기도 한다. 생리하는 동안 어떠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지 알아보자.
생리 기간 중에는 왜 울고 싶어질까?

마지막 업데이트: 13 5월, 2020

생리는 사춘기쯤 시작하여 만 50세까지 계속된다. 생리 주기가 되면 여성 호르몬이 폭주하고 가끔 울고 싶어질 때도 있지만 겁낼 필요는 없다. 이제부터 생리 기간 중 왜 울고 싶은 느낌이 드는지 그 이유를 알아보자.

모든 여성의 생리 증상이 똑같지는 않지만, 평균 이상으로 현격한 감정 변화를 보이는 여성들이 있기는 하다. 하지만 학교에서도 생리하는 동안의 감정 변화에 관해 배울 기회는 많지 않다. 또 여성들끼리 생리나 생리 불순, 다낭성 난소, 자궁 내막증, 월경전 증후군에 관해 대화하는 경우도 흔치 않다.

생리하는 동안 울음이 복받치는 이유를 알려면 이러한 증상들을 잘 알 필요가 있다. 건강에 이상이 없어도 생리 기간 중 심한 감정 기복을 겪기도 한다.

생리 주기의 단계별 변화

생리 주기는 여포기, 배란기와 황체기 3단계로 나눌 수 있다. 생리혈이 나오는 첫날부터 시작해서 생리 기간은 보통 5일에서 7일 정도지만 12일 동안 계속하는 경우도 있다.

난포기의 뇌는 더 많은 여포 자극 호르몬(FSH)를 분비한다. 여포 자극 호르몬은 난자를 성숙하게 하고 임신에 대비하여 자궁벽을 튼튼하게 하는 에스트로겐을 분비하게 한다.

두 번째 단계인 배란기에 접어들면 에스트로게 분비가 증가하여 황체 형성 호르몬(LH)을 생산한다. 황체 형성 호르몬은 생리 주기 중반쯤 가장 성숙한 난자를 골라서 내보내는 역할을 한다.

나팔관을 통해 자궁으로 이동한 난자는 24시간 동안 활동하는데 이때 정자가 접근하면 가장 건강한 정자를 골라서 수정한다. 수정하지 못한 난자는 자궁 내에서 사라진다.

생리 에스트로겐

황체기는 생리 주기의 마지막 12일로 수정에 대비하여 난포에서 프로게스테론 다량을 자궁으로 보낸다. 이때 에스트로겐 분비가 증가하면 울고 싶은 기분이 든다.

황체기가 되면 몸이 붓고 가슴이 매우 민감해지면서 감정 기복이 심해진다. 정자와 수정이 되지 않으면 자궁이 작아지고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수치는 감소한다.

이때 불필요한 자궁막은 생리혈로 배출된다.

생리 기간 중에 울고 싶어지는 이유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임신 가능성이 큰 배란기가 되면 여성들은 계속하여 호르몬 수치 변화를 경험한다.

특히 황체기에는 감정 기복이 심해져서 쉽게 웃고 불안감을 느끼기도 한다. 여포기에는 대다수가 경련과 피로를 경험하며 예민해진다.

여성 4명 중 3명이 생리하는 동안 수시로 짜증, 허탈함, 슬픔이나 초조 같은 감정을 겪는다. 이러한 감정 기복은 단순히 에스트로겐 변화와 뇌 활동에 의한 것일 뿐이다.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과 뇌는 연결 관계에 있어서 생리 전 호르몬 변화는 뇌를 경계 상태로 만들기도 한다.

뇌의 경계 상태는 심각한 스트레스보다 훨씬 강력하게 여성 심리에 영향을 미친다. 우울, 슬픔과 울음은 평범한 증상이며 가끔 자궁 내막증이나 다낭성 난포로 인해 심한 우울증을 겪는 여성도 있다.

생리 자궁 내막증
에스트로겐 수치가 높아지면 생리 기간 중 울고 싶어진다.

생리혈

생리가 터지면 에스트로겐이 엔도르핀 분비를 촉진하여 즉각적으로 우울한 기분이 나아진다. 많은 여성이 이 시기에 뛰어난 영감을 얻기도 한다.

이제 왜 생리하는 동안 울고 싶은 기분이 드는지 조금 이해가 됐을 것이다. 생리 전 기분 저하는 대개 월경전 증후군일 가능성이 높다. 일상을 방해할 정도로 월경전 증후군이 심각하다면 전문가에게 진찰을 받자.

급격한 감정 변화에 지배당하지 말고 건강식으로 뇌 활동을 돕거나 요가나 명상으로 마음의 안정을 찾는 것도 현명한 대처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