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의 비간질성 발작
어린이의 비간질성 발작은 되풀이되는 신체 이상의 한 종류다. 이 발작은 갑자기 나타나고 단기간 지속한다. 또한 간질보다 훨씬 더 빈번하게 일어나지만 덜 알려져 있다.
비간질성 발작의 유병률은 5~20%이다. 모든 어린이 또는 청소년 100명당 약 10명이 비간질성 발작으로 인해 고통받는 것으로 추산된다.
따라서 이 질병과 다른 질병들 사이에 존재하는 차이점을 알고 있는 게 중요하다. 예를 들어, 간질 발작 또는 열성 경련과의 차이점을 알 필요 가 있다. 그 원인을 조사하고 불필요한 치료를 피하려면 조기 진단이 매우 중요하다. 오늘은 어린이의 비간질성 발작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발작의 분류
발작은 간질 또는 간질이 아닐 수 있지만 이 글에서는 비간질성 발작에만 초점을 맞춰서 자세하게 살펴볼 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비간질성 발작은 뇌 기능 이상에 의해 생성되는 다양한 신체 이상의 한 그룹이다. 간질 질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는 신경과민 반응의 결과가 아니라는 점에서 독특하다.
비간질성 발작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며, 이는 임상 증상에 따라 달라진다.
뇌 저산소증
뇌 저산소증은 가장 일반적인 유형이다. 뇌저산소증은 뇌 혈류 감소로 인한 일시적인 의식 상실을 포함한다.
- 신생아의 호흡 장애
- 호흡 정지발작
- 실신
발작성 수면장애
이러한 장애는 본질적으로 온화하다.
- 기면증 또는 탈력 발작
- 몽유병
- 폐쇄 수면무호흡(OSA)
- 야간 공포
- 악몽
- 잠결에 몸을 전환할 때 생기는 리드미컬한 움직임
비간질성 발작 운동 장애
퉁명스럽고 비자발적인 움직임이 특징이다.
- 유아 양성 근간대
- 유아기의 양성 돌발 사경
- 양성 유년기 발작 시력 편차
- 샌디퍼 증후군.
- 점두경축
- 틱 장애
- 경련통
- 병적놀람증
- 의사에게 원인이 있는 운동 이상증
- 신생아의 몸 떨림
- 고정관념과 운동 부정맥
이차적 전신병
- 호흡기증
- 심장병
- 소화 문제
- 신진대사 문제
- 약물 또는 의약품으로 인한 전신병
심리 또는 정신
특히 청소년기에 발생하며 점점 더 빈번해진다.
- 울화 행동
- 공황 발작과 불안증
- 과호흡 증후군
- 가성 분리
- 자기 자극
기타
- 편두통
- 소아 편두통
- 연구개의 간대성 근경련증
보다시피, 비간질성 발작은 매우 다양하다. 대부분 경우 이러한 증상에 대해 개별적으로 들어보았을 것이다. 하지만 그 원인을 더 잘 이해하려면, 모두 같은 그룹에 속한다는 점을 아는 게 좋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증상들은 모두 온화하게 나타난다.
진단
이러한 발작에서는 진단이 매우 중요하다. 우선, 정확한 진단은 많은 불필요한 항간질 치료를 피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또한, 간질 진단으로 인해 종종 발생하는 고통을 완화할 수 있다.
이러한 신체 이상을 적절히 진단하려면 환자의 병력에 대해 자세히 연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욱이 전문가는 발작을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
때에 따라 일부 증상으로 인해 감별 진단이 복잡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의식 수준의 변화
- 비정상적인 움직임
- 경고 신호 없이 발작이 갑자기 발생함
많은 경우, 진단 오류는 이러한 신체 이상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여 발생한다. 동시에 이러한 오류는 가족 간질 병력의 과대평과와 관련이 있을 수도 있다. 열성 경련 이력 또한 오진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때 신체적 또는 신경학적 탐구는 다른 병리를 배제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때로는 뇌파도(EEG)와 같은 보완 테스트에 의존해야 할 수도 있다. 이 외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다른 테스트는 다음과 같다.
- 심장학 연구
- 정신과 연구
- 신경 촬영법
- 수면 연구
- 호르몬 연구
치료
일단 정확한 진단이 내려지면, 치료는 특정 유형의 발작과 그 출현 이면에 있는 원인에 달려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치료는 필요하지 않다.
일반적으로는 간질을 배제하고, 두려움을 없애고, 상황을 정상화하기 위해 실제로 진행되고 있는 일이 무엇인지 아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Delgado, F. M., Gimeno, A. M., & Muela, S. H. (2008). Episodios paroxísticos no epilépticos. In Asociación Española de Pediatría. Protocolos diagnósticos de Neurología Pediátrica (pp. 66-70). AEP Madrid.
- Fernández, J. H. (2011). Trastornos paroxísticos no epilépticos. PediatríaIntegral, 857.
- Sánchez-García S, García Campos O, Verdú Pérez A, Villaizán Pérez C. (2014). Episodios paroxísticos no epilépticos. Form Act Pediatr Aten Prim, 7, (187-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