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 장애를 가진 아동의 수업 활동
사회는 장애를 가진 아이들도 자신이 좋아하는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시각 장애를 가진 아동 역시 마찬가지이다. 다른 아이들과 함께 어울려 노는 것은 성장 중이 아이들에게 가장 중요한 활동 중 하나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시각 장애를 가진 아동들도 함께 참여할 수 있는 활동에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볼 것이다.
시각 장애를 가진 아동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사람들의 시각은 4가지 정도로 구분될 수 있다.
- 일반 시력
- 가벼운 시력 장애
- 심각한 시력 장애
- 실명
세계보건기구의 4가지 구분 안에서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3개 정도로 나누어 사용하기도 한다. 일반 시력, 가벼운 또는 심각한 시력 장애 그리고 실명 수준이다.
더 읽어보기: 특별한 도움이 필요한 형제자매와 함께 지내기
시각 장애를 가진 아동을 위한 활동
시력 장애를 가진 아동은 더 나은 운동 능력을 가지고 있거나 다른 감각 기관이 좀 더 발달하는 경향이 있다.
학업 환경에서 시각 장애 아동이 참여할 수 있는 활동이 있는 것은 특히 더 중요하다. 선생님들은 장애를 가진 학생을 포함한 모든 아이들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활동 계획을 세워야 한다.
교실에서 모든 학생들이 참여 가능한 활동을 하는 것에는 매우 다양한 장점이 있다.
- 장애를 가진 학생들이 열등감을 느끼지 않아도 되고 자신 또한 학급의 일원이라는 느낌을 가지게 된다. 이것은 아이들의 정신 건강에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 비장애 학생들도 시각 장애 학생들이 경험하는 어려움에 대해 좀 더 잘 알 수 있고 그러한 문제들을 좀 더 진지하게 받아들일 수 있다.
- 학생들은 합동 활동이나 놀이를 통해 운동 및 감각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이것은 시각 장애 학생들에게 더욱 매우 중요한 것임과 동시에 장애가 없는 학생들에게도 도움이 된다.
게임: 노아의 방주
노아의 방주 게임을 하기 위해서는 열려있는 넓은 공간이 필요하다. 모든 학생들이 들을 수 있는 위치에 오디오 플레이어를 둔다. 오디오 플레이어로 동물의 소리 또는 어떤 소리(물, 불, 바람 등)를 틀어준다.
일반 시력을 가지고 있는 아이들은 눈을 가린다. 그래야 시각 장애 아동과 똑같은 조건으로 게임에 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체 참여 인원수에 따라 2명씩 짝을 짓거나 몇 명을 한 그룹으로 묶어 게임을 한다.
더 읽어보기: 아기의 시력: 아기들은 언제부터 보기 시작할까?
준비가 다 되면 선생님은 어떤 소리를 들려준다. 아이들은 그 소리를 잘 듣고 소리가 나오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학생이 소리가 나는 방향으로 제대로 이동해온 경우 선생님은 동물이나 들리는 소리에 해당하는 그림을 준다. 가장 많은 그림을 모은 팀이 승리하는 것이다.
이것은 매우 좋은 게임인데 그 이유는 아이들이 팀을 이루어 움직이고 함께 결정을 하기 때문이다. 서로 협동하여 다 같이 같은 방향으로 움직여야 한다. 또한, 청각 능력과 방향 감각 향상도 기대할 수 있다. 소리를 듣고 그 소리가 나오는 방향으로 움직이기 때문이다.
손을 뻗어 주변을 더듬어가며 조심스럽게 움직여야 한다. 아이들끼리 서로 부딪혀서 넘어질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시각이 아닌 다른 감각 기관을 사용해서 주변 상황을 파악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게임: 암호
암호 게임은 다소 연령대가 높은 아이들에게 추천한다. 조금 더 복잡한 놀이이기 때문이다. 열린 공간에서 선생님은 약간의 장애물 구간을 만들어둔다.
학생들이 약간의 장애물을 극복해야 지나갈 수 있는 구간이다. 가장 먼저 장애물 구간을 통과한 팀이 우승한다.
선생님은 아이들을 2명씩 짝 지운 다음 한 명의 눈을 가린다. 눈을 가리지 않은 학생이 눈을 가린 학생에게 지시를 해서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어야 한다.
이 게임이 좀 더 어려운 이유는 팀마다 서로만 알아들을 수 있는 암호를 만들어서 장애물 구간을 지나가야 하기 때문이다.
암호는 색깔과 소리를 바탕으로 만들도록 한다. 예를 들어, 노란색은 오른쪽으로 이동, 파란색은 왼쪽으로 이동, 개 짖는 소리는 3 발자국 앞으로 이동 등과 같은 식으로 만든다.
이 게임은 다음과 같은 능력 발달에 도움이 된다.
- 주변을 보지 않고도 이동할 방향을 알 수 있다.
- 다른 학급 친구를 신뢰하게 만든다.
- 사전에 함께 만든 암호를 기억해야 할 수 있는 놀이로 기억력에도 도움이 된다.
게임: 물건 알아 맞추기
나이가 좀 더 어린 아이들에게는 물건 알아 맞추기 게임 또한 시각 장애 아동을 포함해서 모두 함께 즐길 수 있는 좋은 선택이다. 아이들 모두 눈을 가리게 해서 모두 동등한 조건을 갖추도록 한다. 그리고 물건을 나눠준다. 아이들은 물건을 만져보는 것만으로 그 물건이 무엇인지 맞추어야 한다.
소리나 어떤 소음이 나오는 물건은 좀 더 좋을 수 있다.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진 물건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다양한 촉감과 크기의 물건을 골라 아이들이 감촉을 통해 다양한 특징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모든 게임들은 아이들의 운동 능력을 자극함으로써 지각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Batlle, F. (2014). Errores Refractivos en los Niños: Un Problema Global. VISIÓN 2020. https://vision2020la.wordpress.com/2014/01/09/errores-refractivos-en-los-ninos-un-problema-global/
- Espinoza Sólorzano, B. S., & Martínez Manobanda, C. L. (2022). Estrategias metodológicas para el desarrollo de habilidades psicomotrices en niños con discapacidad visual [tesis de licenciatura de pedagogía en la actividad física y deporte, Universidad de Guayaquil]. Repositorio Institucional de la Universidad de Guayaquil. http://repositorio.ug.edu.ec/handle/redug/65260
- García-Trevijano Patrón, C., Leonhardt Gallego, M., Oyarzábal Céspedes, B., & Vecilla Rodrigo, I. (2012). Construir juntos espacios de esperanza. Orientaciones para el profesional de atención temprana a niños con ceguera o deficiencia visual. Serie: Guías. ONCE. http://riberdis.cedid.es/handle/11181/3411
- Núñez, J. C., Salinas, S. C., & Castro, F. G. (2010). De la educación especial a la educación inclusiva. Argumentos. Estudios críticos de la sociedad, 23(62), 41-83. http://scielo.unam.mx/pdf/argu/v23n62/v23n62a3.pdf
- Perrault, C. (2020). Los tres cerditos. Saga Egmont. https://books.google.es/books?id=q4f2DwAAQBAJ&dq=cuento+tres+cerditos&lr=&hl=es&source=gbs_navlinks_s
- Organización Mundial de la Salud (OMS). (2022). Ceguera y discapacidad visual. (n.d.). Who.int. https://www.who.int/es/news-room/fact-sheets/detail/blindness-and-visual-impairment
- Ramírez Hernández, R. (2017). Juegos sencillos para el desarrollo de la movilidad y la orientación espacial en niños con deficiencia visual [tesis de licenciatura en cultura física, Universidad de Holguín]. Repositorio UHO. https://repositorio.uho.edu.cu/handle/uho/25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