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엄마에게 쓰는 편지

아이가 엄마에게 쓰는 편지

마지막 업데이트: 17 11월, 2018

사랑하는 엄마에게

엄마가 제게 얼마나 중요한 사람인지 어떻게 말로 표현할지 모르겠어요. 항상 제 곁에서 저를 사랑하고 응원해주셨죠. 제가 특별하고 남다른 사람처럼 느끼게 해준 엄마에게 감사하는 마음을 전하고 싶어요.

예전만큼 엄마와 가깝지 않은 걸 알아요. 어릴 때는 자주 시간을 보냈죠. 엄마와 함께 웃고 놀면서 즐거운 일들을 많이 했던 걸 기억해요. 영화도 보고 쇼핑도 가고 같이 산책도 다녔죠.

엄마랑 함께라면 뭘 하던 좋았어요. 엄마와 보낸 모든 순간이 계속되기만 바라면서요.

춥든 비가 오든 상관없이 엄마는 항상 모든 일에서 긍정적인 면을 찾아냈죠.

아이가 엄마에게 쓰는 편지

항상 제게 용감하게 살라고 말씀해주셨으니까요.

사랑하는 엄마 같은 사람이 세상에 더 많았으면 해요. 대가를 바라지 않고 그저 좋은 일을 하며 남을 돕는 사람들이요.

전쟁과 증오가 만연한 이 세상에서 엄마는 어둠 속 등불 같아요.

엄마, 올바른 길로 이끌어 주셔서 감사해요

엄마와 말다툼했던 일들을 전부 기억해요. 슬펐던 순간도 있지만 그런 다툼도 소중한 추억이 됐어요. 제가 성숙하도록 소중한 가르침을 얻었던 시간이니까요.

엄마랑 큰 소리를 내면서 다툴 때는 제 인생에 도움이 될 줄 꿈에도 몰랐죠.

그때는 왜 저 때문에 화내고 우시는지 몰랐지만 이젠 평생 감사하며 살 거예요. 엄마가 저를 고쳐주지 않았다면 올바르게 행동하는 법을 몰랐을 거예요.

제가 실수하면 엄마가 언제나 제일 먼저 조언해주셨죠. 제가 엄마의 인내심을 시험했을 때도 누구보다 침착하게 대처하셨는데 멋도 모르고 버릇없이 굴었던 걸 용서하세요.

고마운 엄마는 살면서 알게 된 사람 중 최고예요. 엄마는 제가 차갑거나 무관심하다고 느낄 수 있지만 보이는 게 다가 아니에요. 겉모습은 그래도 엄마에 대한 제 사랑은 변함없죠.

엄마와 제 유대감은 무슨 일이 있어도 깨질 리가 없어요. 제가 필요할 때마다 엄마가 옆에 계실 걸 알죠. 엄마와 제 사이에 무엇도 낄 수 없을 만큼 서로에 대한 사랑과 정이 강해요

고마운 엄마에게


지금도 그리고 앞으로도 엄마가 필요해요

어릴 때는 나이가 들면 엄마 도움을 안 받을 줄 알았어요. 강하고 단단한 어른이 돼서 엄마 보호는 필요 없을 줄 알았지만 말도 안 되는 생각이었죠.

엄마를 얼마나 많이 생각하고 보고 싶은지 모르실 거예요. 어린 시절을 생각하면 엄마가 곁에 계셔서 늘 안심했어요.

나이와 상관없이 엄마가 필요해요.  언제나 현명한 조언을 해주시고 비밀을 나눌 수 있는 동지니까요. 세상에 무조건 믿을 수 있는 사람은 엄마뿐이에요.

제 가정을 꾸리게 됐을 때도 의지할 사람은 엄마뿐이에요. 우리 모녀 관계는 무엇도 대신할 수 없죠.

엄마가 있어서 천만다행이에요. 흘깃 보기만 해도 서로 무슨 생각을 하는지 안다니 우리 모녀 같은  사이는 드물고 귀해요.

다들 저처럼 운이 좋은 게 아니라서 자식을 불행에 빠뜨리는 부모도 있어요. 엄마가 어떤 분인지 그런 사람들에게 알려주고 싶어요. 엄마의 아낌없는 사랑을 배울 수 있도록요.

엄마처럼 하지 못할까 봐 두려울 때도 있어요. 엄마처럼 자식을 사랑하지 못하면 어쩌죠? 분명 제게 말도 안 되는 소리라며 할 수 있다고 말씀하시겠지만요.

그래서 고마운 엄마가 항상 저와 함께이길 바라요. 서로에게 시간을 할애하고 함께 떠들며 조언도 나누면 좋겠어요.

제 인생에 엄마란 분을 만난 건 정말 행운이죠. 그 행운을 계속 누리고 싶게 하는 엄마가 항상 곁에 계셔서 감사해요.

사랑해요, 엄마!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Bowlby, J. (1986). Vínculos afectivos: formación, desarrollo y pérdida. Madrid: Morata.
  • Bowlby, J. (1995). Teoría del apego. Lebovici, Weil-HalpernF.
  • Garrido-Rojas, L. (2006). Apego, emoción y regulación emocional. Implicaciones para la salud. Revista latinoamericana de psicología, 38(3), 493-507. https://www.redalyc.org/pdf/805/80538304.pdf
  • Marrone, M., Diamond, N., Juri, L., & Bleichmar, H. (2001). La teoría del apego: un enfoque actual. Madrid: Psimática.
  • Moneta, M. (2003). El Apego. Aspectos clínicos y psicobiológicos de la díada madre-hijo. Santiago: Cuatro Vientos.

'당신은 엄마입니다' 콘텐츠는 오직 교육 및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어떠한 경우든 전문가의 진단, 치료 또는 권고를 대신할 수 없습니다. 의문 가는 점이 있다면 반드시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