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증이 의심되는 아이의 행동
2분
부모가 자녀의 건강을 걱정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특히 자폐증 증상은 최대한 일찍 발견하는 것이 좋다(생후 18개월 전). 자폐증을 진단하려면 먼저 자폐증이 의심되는 아이의 증상을 파악해야 한다. 물론 자폐증이 좀 늦게 발견되더라도 걱정할 필요는 없다.
제대로 치료를 받으면 병세가 크게 나아져 아이가 건강하게 자랄 수도 있다.
자폐증이란?
자폐증의 주요 증세를 파악하기 전에 병에 대한 기본 지식부터 파악해야 한다. 자폐증은 아이의 성장 발달에 영향을 주는 다른 병과 같은 증세가 있어서 진단하기 어려울 때도 있다.
간단히 말하면 자폐증은 여러 가지 뇌 발달 장애로 나타나게 된다. 장애의 정도에 따라 특징이 달라진다.
자폐증이 있는 환자는 사회적 교류가 어렵고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 장애가 있으며 반복적인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
유아 자폐증 증세
다음은 자폐증이 있는 아이들에게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증상이다.
- 눈을 마주치지 않는다(이야기할 때, 밥 먹일 때나 놀아줄 때).
- 주변 사람들이 웃을 때 웃지 않는다.
- 자기 이름이 불리거나 친숙한 목소리가 들려도 반응이 없다.
- 앞에서 물체를 흔들어도 따라 움직이지 않는다.
- 대화할 때 몸짓을 쓰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인사할 때 손을 흔들지 않는다.
- 손으로 물건이나 몸 일부를 가리켜도 사물을 보지 않는다.
- 뭔가 필요해도 소리를 내서 부모의 관심을 끌려고 하지 않는다.
- 포옹이나 다른 애정 어린 동작에 무반응일 때가 있다.
- 놀이 시간에 자기를 향해 표현되는 동작이나 표정 흉내를 내지 않는다.
- 뽑히고 싶지만, 손을 들지 않는다.
- 타인과 어울리지 않거나 흥미를 보이지 않고 놀이 시간을 즐거워하지 않는다.
- 혼자 무언가 할 수 없을 때 자폐 아동은 도움을 청하지 않는다.
연령대별 주의해야 할 자폐증 신호
- 생후 6개월: 자주 웃지 않거나 행복한 표현을 하지 않는다.
- 생후 9개월: 소통을 위해 소리를 내거나 웃거나 표정을 짓지 않는다.
- 생후 12개월: 이름을 불러도 반응이 없다. 또 웅얼거리기 시작한다(화법 첫 단계) 물체 가리키기와 들기 같은 동작에 반응이 없다.
- 생후 16개월: 이때까지 단어를 말하지 못한다.
- 생후 24개월: 첫 문장을 말하지 못했다(두 단어 이상을 이어서 말하지 못한다).
2세 이상 아이의 자폐증 증상
- 주변 사람에게 흥미가 없거나 의식하지 않는다.
- 타인과의 교류나 사회화에 관심이 없다.
- 남이 만지거나 안거나 애정 표현을 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 단체 놀이에서 빠지려고 한다. 놀이 시간에 또래 아이들을 따라 하거나 창의적으로 장난감을 갖고 노는 법이 없다.
- 자기 감정 표현에 난감해한다.
- 대화할 때 상대 말을 듣지 않는 것 같다.
- 가까운 이들과도 흥미나 성과를 공감하지 않는다.
- 독특한 목소리 톤과 어투로 말한다.
- 문장 반복도 이 또래 자폐아의 특징이다.
- 질문을 받으면 그대로 반복하거나 분명한 답을 하지 않는다.
- 자신을 제삼자로 지칭한다.
- 말할 때 문법적 실수가 잦다.
- 자기 욕구나 필요에 대한 표현을 어려워한다.
- 간단한 지시도 잘 따르지 못한다.
- 눈 맞추기를 피한다.
- 표정과 말하는 내용이 맞지 않는다.
- 소통할 때 동작을 잘 쓰지 않기 때문에 로봇처럼 행동하기도 한다.
- 자세가 좋지 않다.
- 엄격하게 정해진 일과를 따른다.
- 자신의 방식에 변화가 생기면 적응하기 어려워한다.
- 꼼꼼하게 물건을 정리한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Álvarez, I., & Arroyo Ignacio, C. (2016). Bases genéticas del autismo. Acta Pediátrica de México. https://doi.org/10.18233/apm31no1pp22-28
- Assumpção Jr, F. B., & Pimentel, A. C. M. (2000). Autismo infantil. Brazilian Journal of Psychiatry, 22, 37-39. http://www.scielo.br/scielo.php?pid=S1516-44462000000600010&script=sci_arttext&tlng=pt
- Cuxart i Fina, F. (2000). El Autismo : aspectos descriptivos y terapéuticos. Aljibe.
- Ritvo ER, Ornitz EM. (1976). Autism: diagnosis, current research and management. New York: Spectrum.
- Rivière, A. (2001). Autismo. Orientaciones para la intervención educativa. Madrid: Trotta. SA Cómo potenciar la comunicación en el alumnado con trastorno del espectro autista.
- Morrison, J. (2015). DSM-5® Guía para el diagnóstico clínico. Editorial El Manual Modern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