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상기태는 무엇일까?
포상기태는 임신 중 계속되는 기형의 형태를 말한다. 수정되고 나서 급속도로 자라나는 세포질의 무리가 될 무렵에 발생한다. 태반에 세포를 형성하는 영양막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는 질환이다.
완전 포상기태는 융모막의 융모가 수포성으로 배아나 태아는 보이지 않는 것이 특징이며, 불완전 포상기태는 어느 정도의 태아 조직을 확인할 수 있으나 항상 기형적이며 생존 불가능하다.
이런 질환이 동반되는 임신은 주로 유전적 문제 때문에 일어난다. 완전 포상기태의 경우, 1개 또는 2 개의 정자가 빈 난자와 수정을 하므로 정자도 유전적 기여를 하게 된다.
불완전 포상기태의 경우에는 어머니 쪽의 유전형질을 받으며 결과적으로 배아는 일반적인 46개 대신에 69개의 염색체를 가지게 된다. 불완전 포상기태는 안타깝게도, 배아들이 성장하지 않고 비정상적인 성장으로 인해 비대해진다.
포상기태는 얼마나 자주 발생하는 것일까? 1,000번의 임신 중에 0.5에서 1회 정도 발생한다고 볼 수 있다.
포상기태는 언제 생길 수 있을까?
포상기태가 발생하는 위험 요소는 다음과 같다.
- 40세 이상인 여성의 임신: 이 연령 그룹의 임신은 포상기태 발병률이 높게 나타난다.
- 이전에 포상기태 경험이 있는 경우
- 자연유산을 겪은 여성
- 식단에 단백질 또는 카로틴(비타민 A)와 같은 영양부족
- 임신 촉진 치료를 받은 경우
포상기태는 어떻게 발견될까?
일반적으로, 임신한 여성은 무월경, 구역질, 복부 성장과 같은 전형적인 신호들을 느낀다. 건강한 임신에서는 주로 나타나지 않는 증상들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 질 또는 다량의 조직으로 인한 혈액 손실
- 메스꺼움과 구토
- 고혈압
- 삼키는 것이 어려움
- 빈혈
- 난소낭포들
- 굉장히 비대하거나 작은 자궁
- 자궁낭과 심박수의 움직임 같은 태동이 적음
어떤 경우든, 전문가가 임신 호르몬인 hCG의 정도가 높은지 분석할 수 있다. 골반 분석과 초음파를 통해, 자궁의 비정상적인 크기와 배아가 덩어리로 형성되었는지를 알아볼 수 있다.
의학적으로 포상기태를 치료할 수 있을까?
포상기태는 주로 자연유산으로 연결된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수술, 소파술 또는 약물로 제거되어야 한다.
항상 이런 임신은 배아가 없거나 있어도 배아가 살아남을 확률이 없는 경우이다. 몰(mole) 조직을 제거한 후에, 자국이 남을 수 있어서 재발할 위험이 있다. 이 비정상적인 조직이 급증하면 지속적으로 임신성 융모성 질환이 있을 수 있다.
이 상황은 완전 포상기태의 경우 15%에서 20% 그리고 불완전 포상기태의 경우 5%로 발생한다.
포상기태의 합병증
- 이렇게 복잡하고 이례적인 임신에서는, 정확한 진단을 통해 생식기 건강을 유지해야 나중에 일반적인 임신을 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 한편, 몰(mole)이 자궁 조직 깊이 뚫고 들어가서, 통증을 유발하고 하혈하면서 질 분비물이 나올 수 있다. 포상기태에서는 태아가 자랄 수 없다.
- 반면, 임신성 융모 종양이 보이면, 암의 한 종류인 융모막 선종이 생길 확률이 높다. 자궁절제술을 실행해야 할 수도 있다.
- 몰(mole) 때문에 혈압이 상승하기 시작하면 전자간증도 생길 수 있다.
- 드물지만 갑상선에도 영향을 준다.
포상기태로 인해 임신에 실패한 여성은 진단과 치료를 적절한 때에 받고 지속적인 검진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다음 임신을 위해서는 1년 정도 기다려야 하고 그동안 생식 기관의 건강에 각별히 신경써야 한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Embarazo molar. Protocolos SEGO. Prog Obstet Ginecol 2004; 47 (8): 400-4.
-
Calero F. Enfermedad trofoblástica gestacional. Actual Obstet Ginecol 1989; 1:3.
- Mangili G, Lorusso D, Sechl M, et al.: Trophoblastic disease review for diagnosis and manag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Gynecological Cancer 2014; 24, 53: S109-S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