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의 언어 습득 발달

아이의 언어 습득 발달

마지막 업데이트: 10 6월, 2018

아이의 언어 습득 발달은 모든 엄마와 아빠들이 의식적으로 또는 무의식적으로 이미 행하고 있다. 아이가 언어 습득 발달에 필요한 능력을 가지고 있다면, 이 과정은 천천히 각자의 방식에 맞게 효과적으로 진행된다.

하지만 부모가 좀 더 많은 정보를 알고 있으면 아이의 언어 습득 발달이 좀 더 좋은 방향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기여할 수 있다.

언어 습득에 대해 설명하자면 인간의 언어는 과정이다 . 사람의 생각을 언어적 특성으로 구현해 타인의 감각(청각)을 통해 받아질 수 있는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이다.

주위 환경에서 공통적으로 사용 되는 언어로 의사 소통을 하는 법을 배우는 과정은 아기가 태어나 몇 년 동안 겪게 되는 도전이다 . 하지만 말하는 능력 발달은 수년이 걸리는 과정이며 사춘기 시기까지 지속된다.

이런 방식으로 아기는 언어 체계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들을 습득하게 된다 . 그리고 이후 단어의 의미와 언어의 기호적인 부분에 대한 질문을 하기 시작한다.

아이의 언어 습득 발달

언어 습득 요소

언어 습득 과정은 언어의 형태 , 언어의 내용 , 언어의 사용 가지 기본 요소로 구분된다 . 아기의 언어 습득 진행 과정이 어느 시기에 있는지 파악하고 좀 더 의식적으로 아기의 언어 습득 과정에 참여하자.

언어의 형태

언어의 형태는 완전히 추상적인 개념이라 정확히 정의 하기가 매우 어렵다. 하지만 대체로 아기가 태어난   5 – 6 살이 까지 발달이 지속된다 . 만일 아기가 언어의 형태를 서서히 자신의 것으로 습득하는 시기에 있다면 어느 정도의 기본적인 문법 구조와 소리 , 음절 그리고 단어를 구분하는 법을 배우도록 아기를 도와주는 것을 전문가들은 권장한다.

언어의 내용

이 개념은 아기가 단지 소리와 음성 구조를 배우는 것을 넘어 더 많은 부분을 습득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아이가 사춘기 이전의 시기까지 이르면 생활에서 직면하는 대부분의 어휘 내용을 이해하게 된다. 즉, 아이는 자신이 보고 듣는 단어의 의미를 대부분 이해한다는 의미다.

아이의 언어 습득 발달

언어의 사용

이 요소를 발달하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이 걸린다. 어휘 체계를 적절하게 사용하는 법은 더 복잡한 의미 지식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언어의 기호적인 의미 사용 능력을 습득한 후 아이는 풍자 , 유머 , 이중적 의미를 갖는 어구 등의 간접적인 언어 형태를 이해할 있다 .

또한 아이는 일상 생활 속 상황마다 어떤 표현이 적절하며 어떤 언어를 사용해야 하는지를 배우고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아이의 언어 습득 발달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을까?

비록 앞서 언어의 형태, 내용과 사용을 구분되어 설명하였지만, 사실 아이가 성장하는 시기 마다 가지 요소는 서로 중복되어 나타난다 . 각 시기의 발달이 원활히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아이의 언어 습득 과정을 너무 빠르게 진행하거나 중간 과정을 빠뜨리는 경우는 좋지 않는 생각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아이의 인지 능력 발달에 유용한 정보들을 듣고 알아보는 습관은 잊지 말자.

언어 습득을 돕는 방법

  • 아기에게 항상 말을 하자. 부모와 아기 사이 간 의사소통은 오랜 시간에 걸쳐 발달한다.
  • 적절한 목소리와 음정을 사용하자. 소리가 너무 크거나 작지 않게, 그리고 쾌활하게 감정을 표현하고 감탄사와 의문사를 사용하며 말하자.
  • 아기가 보고 있는 상황에서 몸짓과 손짓을 사용하자. 이러한 방식으로 아기는 부모가 사용하는 표현과 말하는 행동과 내용을 보고 들으며 배우게 된다. 소리를 반복해서 발음하기 쉬운 입의 움직임을 생각하며 말을 하자.
  • 아기가 처음 소리를 내기 시작할 때 주위에서 반응을 보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짧은 대화를 하며 반복해서 아기와 교감을 하자.
  • 그림책을 읽어주는 것은 아기가 언어의 형태를 인지하고 내용을 이해하기 위한 준비 과정으로 좋은 방법이다.
  • 비록 아직 아기가 타인의 말을 알아 듣지지 못 하더라도 아기는 자신이 듣고 있는 것을 이해한다. 특히 간단한 어구를 사용하면 이해한다. 이 시기가 되면 아기에게 새로운 단어를 가르치고 아기에게 의미를 전달하는 시도를 하.
  • 아기가 주위 환경에서 보고 있는 사물들을 부모가 설명하려는 시도는 절대 나쁜 방법이 아니다. 근처에 흥미로운 사물이나 사람 또는 현상이 있으면 아기에게 설명을 하자.
  • 주위 환경에 관해서 듣고 반응하는 것은 아기의 말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아기가 실수하거나 이해를 못하는 부분들은 하나 하나씩 고치며 가르쳐주자. 이 모든 과정은 아기의 언어 습득 발달에 유용한 도구가 된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Albornoz, E. R. (2015). Palabras que nutren y arrullan. Avances del proyecto disposición lectora para bebés. Educere, 19(62), 193-201. https://www.redalyc.org/pdf/356/35641005017.pdf
  • Del Carmen Díez, M., Sanz, D. I. P., De Caso, A. M., García, J., & García-Martín, E. (2008). El desarrollo de los componentes del lenguaje desde aspectos psicolingüísticos. International Journal of Developmental and Educational Psychology: INFAD. Revista de Psicología, 2(1), 129-135. https://www.redalyc.org/pdf/3498/349832321013.pdf
  • Ece Demir‐Lira, Ö., Applebaum, L. R., Goldin‐Meadow, S., & Levine, S. C. (2019). Parents’ early book reading to children: Relation to children’s later language and literacy outcomes controlling for other parent language input. Developmental Science, 22(3). https://doi.org/10.1111/desc.12764
  • Fernández García, M. E. (2014). El desarrollo y estimulación del lenguaje en niños de 0 a 3 años [tesis de grado en Educación Infantil, Universidad de Valladolid]. Repositorio Documental. https://uvadoc.uva.es/handle/10324/6781
  • Fomasi, I., & Travaglini, P. J. (2016). Cuidados corporales de acuerdo con los principios de Pikler. RELAdEI (Revista Latinoamericana de Educación Infantil), 5(3). https://dialnet.unirioja.es/servlet/articulo?codigo=7598504
  • Gonzalez, S. L., Alvarez, V., & Nelson, E. L. (2019). Do Gross and Fine Motor Skills Differentially Contribute to Language Outcomes? A Systematic Review. Frontiers in Psychology10. https://doi.org/10.3389/fpsyg.2019.02670
  • Grolig, L. (2020). Shared Storybook Reading and Oral Language Development: A Bioecological Perspective. Frontiers in Psychology, 11. https://doi.org/10.3389/fpsyg.2020.01818
  • Gutiérrez, M., & López, F. (2005). Interacción verbal madre-bebé: responsividad e intencionalidad. Revista Mexicana de Psicología, 22(2), 491-503. https://www.redalyc.org/articulo.oa?id=243020634012
  • Laing, C. E. (2017). A perceptual advantage for onomatopoeia in early word learning: Evidence from eye-tracking.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161, 32-45. https://doi.org/10.1016/j.jecp.2017.03.017
  • Montecinos, J. P. (2000). Adquisición y desarrollo del lenguaje y la comunicación: una visión pragmática constructivista centrada en los contextos. Límite: revista de filosofía y psicología, (7), 54-66. https://dialnet.unirioja.es/servlet/articulo?codigo=1086886
  • Motamedi, Y., Murgiano, M., Perniss, P., Wonnacott, E., Marshall, C., Goldin‐Meadow, S., & Vigliocco, G. (2020). Linking language to sensory experience: Onomatopoeia in early language development. Developmental Science, 24(3). https://doi.org/10.1111/desc.13066
  • Navarro Pablo, M. (2003). Adquisición del lenguaje. El principio de la comunicación. Cauce, 26, 321-347. https://idus.us.es/xmlui/bitstream/handle/11441/13138/file_1.pdf?sequence=1
  • Nuñez Celis, M. C. (2019). Proyecto de intervención estimulación temprana en el desarrollo del lenguaje en preescolar [tesis de grado en Especialización en Neurodesarrollo y Lenguaje, Universidad CES]. Repositorio Digital Institucional. https://repository.ces.edu.co/handle/10946/4803
  • Saint-Georges, C., Chetouani, M., Cassel, R., Apicella, F., Mahdhaoui, A., Muratori, F., … & Cohen, D. (2013). Motherese in interaction: at the cross-road of emotion and cognition?(A systematic review). PloS one, 8(10), e78103. https://journals.plos.org/plosone/article?id=10.1371/journal.pone.0078103
  • Sentis, X. A. F. (2004). Desarrollo pragmático en el habla infantil. Onomázein, (10), 33-56. http://cuadernos.info/index.php/onom/article/view/31625
  • Tamis-LeMonda CS, Rodriguez ET. (2008). Parents’ role in fostering young children’s learning and language development. In: Tremblay RE, Barr RG, Peters RDeV, Boivin M, eds. Encyclopedia on Early Childhood Development. Montreal, Quebec: Centre of Excellence for Early Childhood Development, 1-10. https://citeseerx.ist.psu.edu/document?repid=rep1&type=pdf&doi=3c1bf6d7e0b6404227e6a9da97cf7836cdf85868
  • Weisleder, A., & Fernald, A. (2013). Talking to children matters: Early language experience strengthens processing and builds vocabulary. Psychological Science, 24(11), 2143-2152. https://doi.org/10.1177/0956797613488145.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