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수에 관한 매우 흥미로운 사실
양수는 임신 기간 중 자궁 속에 있는 태아를 둘러싸고 있는 액체이다. 태아의 성장과 발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글에서는 어쩌면 사람들은 잘 모르고 있을 양수에 관한 매우 흥미로운 사실 몇 가지를 알아보도록 하자.
양수의 구성 요소
양수는 임신 기간이 지속됨에 따라 그 구성 요소가 변화한다. 또한, 임신 32주가 될 때까지 그 양 또한 늘어나는 것이 보통이다. 하지만 임신 40주가 되면 그 양이 줄어들기 시작한다.
처음에는 삼투로 인한 것이다. 다른 말로 설명하자면 양수는 일단 임신부의 혈액과 태반, 자궁 점막, 배아의 표면에서 나온 물질의 혈장으로 형성된 것이다.
그다음, 태아가 소변 및 삼키는 기능을 가지게 되면 주로 다음과 같은 것으로 형성 요소가 바뀌게 된다.
- 태아 소변
- 폐에서 나온 액체
- 입과 코에서 나오는 분비물
태아는 계속해서 이 액체를 흡입하고 그와 동시에 소변을 통해 배출해낸다. 이것이 양막 내 액체의 양을 조절하며 필요한 균형을 유지한다.
더 읽어보기: 양수과소증은 무엇일까?
양수에 관한 흥미로운 사실: 기능 측면
양수의 가장 중요한 기능 중 몇 가지는 다음과 같다.
- 외상 또는 외부적 충격에 대한 보호 기능
- 자궁 내 태아와 탯줄을 위한 쿠션 기능
- 감염 보호 및 방어
- 임신 중 태아를 위한 영양 및 성장 요소 보관
- 태아의 온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데 도움
- 다양한 효소를 가지고 있어 태아의 폐 성숙에 도움을 준다.
- 또한, 태아의 근골격, 위장, 폐 발달을 돕는다.
양수에 관한 흥미로운 사실: 병리적 측면
양수 양의 변화
임신 중 양수의 양이 안정적이지 않고 너무 많거나 부족한 경우가 생길 수 있는데 그 원인은 다양하다. 다음의 두가지는 상황은 모두 병리적 측면이다:
양수과소증. 양수가 부족한 경우이다. 이 상태는 다음과 같은 합병증을 불러올 수 있다.
- 조기 출산
- 저체중 출산
- 출산 중 태아의 느린맥
- 심지어 태아의 사망까지 야기할 수 있다.
양수과다증. 양수의 양이 과도한 경우이다. 이 상태는 특히 임신부에게 다음과 같은 합병증이 생길 수 있다.
- 임신성 당뇨병
- 임신 중 고혈압
의료 전문가는 일반적으로 초음파 검사를 통해 양수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그 변화를 파악한다. 양수지수 (AFI)를 통해 진단하는 것이다.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전문가는 자궁을 4등분으로 구분해서 센치미터 단위로 측정한다. 정상 양수지수는 8~21 cm 이다.
양수 색전
또 다른 관련 병리적 측면은 양수 색전이다. 양수가 임신부의 혈액에 유입되었을 때 벌어지는 상황이다. 매우 심각한 상태로 조직 저산소증과 응고 이상을 유발할 수 있다.
더 읽어보기: 양수가 과도한 상태인 양수과다증
태변 착색 양수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문제가 하나 더 있다. 태변 착색 양수는 양막에 태변이 있는 것이다. 태변은 신생아가 가장 처음으로 배설하는 대변이다. 일반적으로 출산 이후에 태변이 나오는 것이 보통이다.
하지만 때로 출산 전에 태변을 배설하기도 있는데 특히 예정일이 지나도록 출산이 이루어지지지 않은 경우에 벌어지는 상황이다.
흔히 임신부의 양수가 터지면 그 액체는 투명하거나 노란빛을 띄게 된다. 하지만 그것이 불투명하고 녹색빛을 띄며 물보다 걸쭉한 상태라면 태변이 섞여있다는 의미이다. 그런 경우에는 반드시 전문가의 진단이 필요하다. 그것은 태아에게 도움이 필요한 상태라는 의미일 수 있기 때문이다.
결론
양수는 임신 중 태아의 발달과 웰빙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보호 역할 뿐 아니라 영양분을 보관하고 태아의 근골격, 위장, 폐 발달을 가능하게 한다. 양수에 변화가 생긴다면 그것은 매우 중대한 손상을 불러올 가능성이 있다.
또한, 산전 검사나 분석을 통해 염색체 장애와 같은 선천적 결함을 파악할 수 있다. 양수천자를 통한 검사이다. 이 검사 자체도 매우 위험하므로 전문가는 해당 검사를 시행하기 전에 충분히 환자 상태를 살펴봐야 한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Morgan-Ortiz, F., Morgan-Ruiz, F. V., Quevedo-Castro, E., Gutierrez-Jimenez, G., & Báez-Barraza, J. (2015). Anatomía y fisiología de la placenta y líquido amniótico. Rev Med UAS, 5(4).
- Cerviño, N., & Pagés, G. (2004). Patología del líquido amniótico. Rev Chil Obstet Ginecol, 69(6), 276-482.
- Blair, J. E. S., & Calle, A. M. C. (2007). Alteraciones del líquido amniótico, enfoque diagnóstico y terapéutico. Memorias Curso de Actualización en Ginecología y Obstetricia, 15, 57.
- Reyes, E. R., González, G. K. S., Hidalgo, A. O., Peña, Y. R., & Regueiro, A. F. (2015). Resultados de seis años de estudios citogenéticos en líquido amniótico. Revista Electrónica Dr. Zoilo E. Marinello Vidaurreta, 4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