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지방관에 대해서 알아보자
유아지방관에 대해서 들어본 적이 있는가? 유아지방관은 생후 첫 몇 달 동안에 아주 흔하다. 심각한 문제는 아니지만, 아기의 머리나 몸으로 퍼지는 것을 막도록 치료해주어야 한다. 이 글에서는 유아지방관에 대한 주요 치료법을 알아본다.
유아지방관은 생후 첫 몇 달 동안에 나타나며, 어른의 비듬과 같은 것이다. 보통 아기의 두피에 작고, 누르스름하고 희끄무레한 비듬이다.
가끔 유아지방관은 눈썹, 속눈썹, 코, 귀 뒤, 그리고 얼굴이나 몸의 다른 부분에 나타난다. 유아 지방관은 식단과 전혀 관계가 없다. 유아지방관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살펴보자.
유아지방관의 원인은?
유아지방관은 아기의 피지선에 의해서 지방이 과다하게 생산되는 결과로 나타난다.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탄생 후에 엄마의 호르몬이 아기의 몸에 남아있는 것과 관련이 있다. 이 호르몬은 피지선을 자극하고 아기의 피부에 과다한 피지를 생산하게 된다.
아기가 자라면서 점차 이 호르몬의 농축이 줄어든다. 몇 달이 지나면서 점점 유아지방관이 사라지기에 이른다.
유아지방관은 감염성이 없고, 위생 결핍과 관련이 없다. 또한, 너무 심하게 제거하려는 제품은 피해야 한다. 피부염을 악화시킬 수가 있기때문이다.
유아지방관에 대처하는 방법
일반적으로, 유아지방관은 치료를 요하지 않고 보통 시간이 지나면 사라진다. 하지만 자꾸 신경이 쓰인다면 아래의 해결책을 따라보자.
아기의 머리를 순한 샴푸로 씻는다
유아지방관이 두피에 있는 경우에는 그 적절한 샴푸로 머리를 씻겨서 과다 지방을 제거한다. 매일 샴푸를 사용할 필요는 없다. 아기의 민감한 피부를 건조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2-3일에 한 번이면 족하다.
천연 오일을 사용한다
감편도 오일 한 두 방울을 떨어뜨려서 유아 지방관을 없애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피부를 부드럽게 해주어서 쉽게 떨어진다. 최선의 결과를 얻으려면, 목욕 전에 비듬이 보이는 곳에 정확히 떨어뜨리는 것이 좋다.
견과류에 의한 알레르기 위험 때문에 알레르기 전문가들이 아몬드 오일을 사용하지 말라고 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그러면, 올리브 오일이나 아르간 오일을 써도 된다.
부드럽게 마사지를 한다
오일을 바른 후에 몇 분 동안 해당 두피 부분을 조심스럽게 마사지를 하는 것도 좋다. 그 다음으로 딱지가 쪼개지지 않도록 두피를 솔질하는데, 손톱으로 제거해서는 안 된다.
부드러운 솔 빗으로 닦는다
부드러운 아기용 솔을 이용하여 딱지를 제거할 수도 있다. 물론 아주 부드럽게, 민감하게 솔질을 해서 피부가 예민해지지 않게 해야 한다.
감염의 위험을 피하고 싶으면, 스스로 떨어지지 않은 딱지는 제거하지 말고, 부드러운 솔을 사용할 것을 권한다.
유아지방관이 지속된다면?
유아지방관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자연적인 해결책을 쓰는 것이 항상 더 좋다. 하지만, 15일간 나름의 조치를 취했지만 별 진전이 없으면, 의사에게 문의해야 한다.
특히, 몸의 다른 부분에 딱지가 생기거나 염증의 신호가 보이면 의사에게 가야한다.
반면에, 딱지가 감염되었으면 의사가 곰팡이 제거 크림이나 국부 항생제를 주입하는 처방을 해서 감염 위험을 줄이게 된다.
간단히 요약하면, 유아지방관은 흔하게 나타난다. 정상적인 경우라도 피지샘이 몇 주 동안에 너무 많은 피지를 계속 생산하기 때문에 유아지방관이 나타날 수가 있다.
주의를 기울이고 적절하게 다루면 유아지방관으로 인한 딱지가 더 이상 커지지 않게 하고 결국에는 사라지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Dalmau Arias J, VILA AT, Puig Sanz L. Dermatitis Seborreica. Vol 18. Haymarket; 1987.
- Ridao M, Redondo I. Dermatitis atópica en Pediatría integral: programa de formación continuada en Pediatría Extrahospitalaria. 2012; XVI (3): 213-220.
- Zambrano A. Dermatitis seborreica. Monografía, Schering,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