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빠 역할을 수행하지 않는 사람들의 5가지 특징

아빠 역할을 수행하지 않는 사람들의 5가지 특징

마지막 업데이트: 23 5월, 2018

오늘의 글은 아빠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않는 아빠들이 가진 가장 흔한 특성들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아빠의 부재가 아이의 웰빙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 아빠의 사랑, 도움, 권위 그리고 본보기는 진정으로 대체할 수 없고 매우 중요한 것이다. 

이것이 바로 아빠가 없이 성장한 아이가 성인이 되어서도 사라지지 않는 공허함과 상처를 가지는 이유이다. 이러한 상처는 정서, 관계, 성격 그리고 자존감에 영향을 끼친다.

아빠라는 존재는 가족과 양육에 있어서 부수적인 존재로 잘못 취급 당해왔다. 양육에 있어 아빠의 역할은 대부분 경제적인 지원을 공급하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하지만, 우리는 이런 식으로 아빠의 역할을 정의하는 것이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내셔널 부성애 계획에서 진행한 연구에 따르면, 아빠의 부재는 아이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아빠가 없이 성장하는 것은 아이의 대인 관계, 경제적 요인, 심지어 신체 및 정신 건강에도 영향을 준다.

이 기관은 이 사안이 대중적인 관심사가 되도록 하기 위한 방법을 고려 중인데, 이것은 해당 국가가 사회 및 교육 프로그램을 만드는데 매년 대략 100조 이상의 비용이 소요되는 일이다.

가족이라는 말을 들었을 때, 그 모습 안에 아빠가 빠져있는 경우가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그것은 그들이 가족의 일원이 되는 것을 원치 않아서가 아니고, 다른 원인들로 인해 자녀의 인생에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한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헤어진 아이 엄마와 좋은 관계가 아니어서 아이를 만나지 못하거나, 군인이어서 집에 있지 못하거나, 직업상 출장이 잦아 아이와 시간을 보내지 못한 것일 수 있다. 

엄마와 사회는 양육에 있어 아빠에게 좀 더 큰 역할을 주어야 한다. 이것은 책임감과 타협을 가능하게 하고, 그와 함께 부성애를 촉진할 수 있다.

아빠 스스로 자신이 아이의 인생에 중요한 사람이라는 것을 깨닫는 것이 중요하다. 그는 매우 중요한 사람이다. 

아이를 무등 태우고 있는 아빠 아빠 역할

아빠 역할을 수행하지 않는 사람들의 5가지 특징

일 중독

아빠는 있다. 하지만 실제로 필요할 때 곁에 있어주지 않는다. 그들은 주로 하루 12시간을 일하고, 아이들과 보내는 시간은 불과 몇 분에 불과하다. 

아이가 학교에 갈 때, 안녕이라고 인사를 한다. 그리고 아이들이 이미 잠들고 난 이후, 일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온다. 따라서 모두 잠든 아이들과 놀아주거나 이야기를 나눌 수도 없다.

이런 종류의 부재는 현 시대에 매우 흔한 경우이다. 물질적 욕구와 직업적 성장에 대한 욕구는 가족 간의 유대감과  아빠와 아이 사이의 유대감을 위험하게 만들고 있다. 

이것을 해결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열쇠는 균형이다. 함께 보내는 시간의 질이 그 양보다 더 중요하다. 만약 당신이 이런 아빠라면, 당신의 부재를 전화나 다른 수단을 활용해 매워주려 노력할 수 있다. 

전화, 이메일, 메신저, 소셜 미디어를 활용해 가족들과 활발하게 교류한다. 이러한 방법은 가족과 계속해서 교류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저녁 시간이나 주말 동안, 일, 휴대 전화, 업무용 이메일 등 모든 것을 멀리하도록 노력한다. 그리고 당신의 관심을 100% 아이에게 쏟는다. 

공감 부족

정서적 또는 신체적으로 함께 해주지 않는 아빠는 공감을 하지 못하는 아빠들이다. 그들은 아이나 아이 주변 사람들과 감정적 연결성이 매우 적다. 그들은 자신만 생각하고, 깊이가 없는 표면적인 관계를 유지한다. 

일반적으로 이런 종류의 아빠들은 아이 곁에 있어주지 않는데, 그 이유는 그들이 아이와 함께 있는 것을 원하지 않기 때문이다. 부성애는 그들에게 낯선 감정이고, 너무나 많은 것에 타협을 요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들은 다른 사람을 생각하고 행동하지 않는다. 그들은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생각하지 못한다 (그들의 연인 또는 부인, 아이의 입장을 고려하지 못한다).

주로 이런 종류의 사람들은 부모가 가지는 책임감으로부터 달아난다. 그들은 자신의 아이와 매우 약한 감정적 연결을 가지고 있다. 그들은 아이를 키우는 책임을 모두 아이 엄마에게만 지운다.

아빠 역할

정서적 미성숙

이런 성격은 공감 부족과 연관이 있다. 정서적 미성숙은 아빠의 역할을 수행하지 않고, 부모의 책임을 기뻐하지 않는 또 다른 이유이다.

정서적으로 성숙하지 않은 사람들은 관계를 맺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그들은 의무를 두려워하고, 해로운 관계를 만들어낸다.

정서적 미성숙은 어린 시절 또는 청소년기의 트라우마로 인한 것일 수 있다. 그들은 아이를 돌보지 않고 무관심했던 자신의 아버지의 역할을 따라하고 있는 것일 수도 있다.

정서적인 성숙함은 행복함과 안정감을 주고, 건강하고 균형 잡힌 관계를 만들 수 있도록 해준다. 정서적 성숙함이 없는 사람들은 성장하는 것을 두려워한다.

그들은 마치 자신이 아이인 것처럼 살고, 자신의 감정을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알지 못한다.

무책임감

이것은 아이의 발달에 신경을 쓰지 않는 아빠를 말한다. 그들은 아이가 힘들 때나, 무언가를 성취해서 축하를 받아야 할 때, 그 자리에 있어주지 않는다. 그들은 단순히 그 자리에 없는 것이다.

이런 사람들은 자신이 아빠라는 사실을 무시하기로 결심하거나, 심지어 자신이 실제로 아빠가 맞는지 의문을 가지고 있다. 이런 아빠들은 아이 양육의 책임감으로부터 도망치려고 한다. 

자기 중심적

자기 중심적인 아빠들은 자신의 아이에 대해 잊어버린다. 그들은 아이를 고려하지 않고 자신의 인생 계획을 세운다. 그는 가족보다 다른 것들을 우선시한다. 예를 들자면, 가족보다는 친구들과 나가 노는 것이나 일을 먼저 생각하는 것이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Torres Arellano, E. V. (2015). Ausencia de la madre y su incidencia en el desarrollo socio-educativo en niños y niñas de 4 años (Bachelor’s thesis, Universidad de Guayaquil Facultad de Filosofía, Letras y Ciencias de la Educación). http://repositorio.ug.edu.ec/bitstream/redug/14516/1/Torres%20Arellano%2c%20Elizabeth.pdf
  • Cartuche Cajamarca, Z. X., & Cacay Cacay, M. C. (2009). La ausencia de la figura paterna o materna y su incidencia en el comportamiento socio-afectivo de niños y niñas de primer año de educación básica de la escuela ‘18 de Noviembre’y Jardín de Infantes ‘José Miguel García Moreno’, de la ciudad de Loja, periodo 2008–2009” (Bachelor’s thesis). https://dspace.unl.edu.ec/jspui/bitstream/123456789/3443/1/CARTUCHE%20ZOILA%20-%20CACAY%20MAYRA.pdf
  • Cabrera Arguello, A. (2014). Importancia de la figura materna en el desarrollo de una personalidad segura durante la etapa escolar temprana. Conexion, 2.
  • Stern, D. (2014). Vinculo afectivo madre e hijo. Cosas de la Infancia.
  • Rodríguez Martínez, N. C. (2010). Los efectos de la ausencia paterna en el vínculo con la madre y la pareja (Master’s thesis, Facultad de Psicología). https://repository.javeriana.edu.co/handle/10554/1281
  • Gordon Coca, M. G. (2013). La ausencia de la figura paterna y su influencia en el desarrollo emocional de los niños/as de pre kinder del centro de estimulacion y desarrollo infantil bilingüe gymbore garden de la ciudad de ambato en el periodo trimestral enero marzo 2011 (Bachelor’s thesis). https://repositorio.uta.edu.ec/handle/123456789/3968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