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는 언제 머리를 들어 올리기 시작할까?
많은 부모들이 아기가 언제 스스로 머리를 들어 올릴 수 있을지 걱정하곤 하는데, 참을성 있게 기다리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자연적인 과정 또는 신체적 발달을 가속하려고 하면 안 된다.
아기가 연약하고 섬세한 존재라는 사실을 기억하자. 태어날 때 아기의 근육은 몸을 움직이는 동작을 하거나 팔다리를 지탱할 만큼의 힘이 없다. 따라서 아기의 행동은 제한적이고 잘 조절되지 않는다.
생후 첫 1년 동안 아기는 끊임없는 기본적인 발달 과정을 거치면서 신체의 다양한 체계 및 신경계와 운동 발달이 이루어진다.
시간이 지나감에 따라 근육이 커지고 힘과 지구력을 얻음에 따라, 아기는 몸을 더 잘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아기는 언제 머리를 들어 올리기 시작할까?
아기의 운동 발달은 근육의 힘으로 머리를 위로 들어 올릴 수 있을 때 정확히 시작된다. 일반적으로 생후 4개월 정도가 되면 아기는 스스로 머리를 들어 올린다.
그러나 성장 매개 변수에 따라 이 시기는 다를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하며, 조금 늦는다고 해서 아기에게 문제가 있다는 뜻은 아니다.
생후 3-4개월이 되기 전, 아기가 머리를 들고 그 자세를 유지하려고 시도할 수는 있지만 몇 초 이상 그 상태를 유지하기는 힘들다.
이 시기에 아기는 단순한 반사 작용으로 이 동작을 시작하며 이후 보다 의식적이고 영구적인 행동을 하게 된다.
일단 아기가 이러한 기술을 습득하면 이는 어깨와 등 근육의 발달로 계속 이어지며, 이 근육들은 나중에 아기가 앉을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이후에 아기의 팔다리도 강해지는데, 이는 아기가 걷는 법을 배우는 데 필요한 필수 조건이다.
요약하자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아기가 배우는 동작들은 다음 순서로 나타난다.
- 생후 1개월: 사물을 볼 수 있도록 머리의 방향을 제어한다.
- 생후 2-3개월: 몸과 팔다리에 대한 통제력이 생기지만 제대로 통제하지는 못한다.
- 생후 4-6개월: 이 시기에 대개 아기는 자신의 머리를 들어 올리기 시작한다.
- 생후 6개월 이후: 이 시기에 아기는 더욱 의도한 대로 몸을 움직이기 시작하며, 힘이 생김에 따라 자신이 원하는 방법으로 몸을 움직이는 법을 배운다. 먼저 아기는 기어 다니기 시작하고, 그러다 걸을 수 있게 된다.
아기가 머리를 빨리 들어 올리도록 도울 수 있을까?
물론 부모가 어느 정도까지는 특정 조치를 통해 아기가 적절한 신체 발달을 하도록 도울 수 있다. 부드럽게 아기를 들어 올리는 것에서부터 몇 가지 쉬운 운동을 해 볼 수 있다.
시간이 지나면서 아기의 근육은 성장하고 신체의 여러 부위를 지탱하는 데 필요한 힘이 생긴다.
가장 좋은 방법은 아기가 조금씩 바닥에 엎드려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주변을 둘러보기 위해 스스로 머리를 들어 올리게 되므로 근육이 조금씩 단련된다.
또 다른 간단한 운동은 얼굴이 아래를 향하도록 아기를 엎드려 눕힌 다음, 아기의 손을 잡고 몸을 일으켜 앉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하지만 이 동작을 할 때는 절대 과도하게 힘을 주면 안 된다.
아기의 운동 발달은 근육의 힘으로 머리를 위로 들어 올릴 수 있을 때 비로소 시작된다.
아기가 머리를 들어 올리지 못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몇몇 아기들은 주요 문제가 없더라도 운동 발달에 약간의 지연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생후 3-4개월이 지나도 아기가 머리를 들지 못하거나 발달이 더디다는 생각이 든다면 소아과 의사와 꼭 상담해보자.
사려 깊은 보살핌
아기가 움직임을 완전히 제어할 수 있을 때까지 아기의 동작을 주의 깊게 살펴보아야 한다. 갑작스러운 움직임이나 머리를 지지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고개가 떨궈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적절한 조치도 꼭 필요하다.
또한, 점퍼나 보행기 등 움직임을 수반하는 모든 종류의 장난감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특히, 아기가 사용할 준비가 되지 않았을 경우라면 더욱더 그렇다. 불필요한 부상이나 합병증을 예방하려면 아기가 완전히 고개를 들 수 있을 때까지 머리를 조심스럽게 지지해 주어야 한다.
머리를 들고 똑바로 지지할 수 있게 되면 아기는 곧 다른 진보를 보여줄 것이다. 몸을 움직이고 주변을 탐험하려는 아기들의 호기심에는 끝이 없다.
분명 몇 달 안에 아기는 기기를 시도하게 될 것이다. 아기와 늘 동행하고 이 놀라운 삶의 단계에서 아기를 사려 깊게 보살피도록 하자!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García, M. A., Martínez, M. A. (2016). Desarrollo piscomotor y signos de alarma. AEPap (ed.). Curso de Actualización Pediatría 2016. Madrid: Lúa Ediciones 3.0; 2016. p. 81-93. https://www.aepap.org/sites/default/files/2em.1_desarrollo_psicomotor_y_signos_de_alarma.pdf
- Kara, Y. A. E., Gümüs, B. M., Turkay, A. H. (2013). Pediatricians’s attitude about the use of infant walkers. Arch. Argent. Pediatr;111(6). http://www.scielo.org.ar/scielo.php?script=sci_arttext&pid=S0325-00752013000600012&lng=en&nrm=iso&tlng=en.
- MedlinePlus (s.f.). Bebé prematuro. Consultado el 16 de marzo de 2023. https://medlineplus.gov/spanish/prematurebabies.html.
- Pérez, J. L., Rodríguez, G. (2013). Relación entre la postura en prono y la adquisición del sostén cefálico a los 3 meses. Anales de Pediatría;79(4):241-247. https://www.analesdepediatria.org/en-relacion-entre-postura-prono-adquisicion-articulo-S1695403313000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