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쇠아동: 아이를 집에 혼자 두면 발생하는 문제
열쇠아동, 이 말을 들어본 적이 있는가? “열쇠아동”'(latchkey kids)이라는 용어는 집 열쇠를 목이나 호주머니에 달고 다니는 아이들에게 붙여진 말이다. 열쇠아동은 학교가 끝난 후에 혼자서 집으로 들어가야 한다. 집에 기다리는 사람이 아무도 없기 때문이다.
열쇠아동에 대한 관심은 부모와 함께 시간을 보내는 것과 관련이 있다. 부모와의 시간은 아이의 심리적, 육체적 발달의 중요한 부분인데 요즘 열쇠아동들이 점점 많아지면서 하나의 특정 세대를 이루고 있다.
열쇠세대
가족과 직장의 균형을 맞추는 일은, 가끔은 부모가 원하는 만큼 아이와의 시간을 가질 수 없다는 것을 뜻한다. 특히 도시에서는 이런 일이 점점 흔해지고 있다.
하루의 많은 시간을 홀로 지내면 행동 장애, 비만, 우울증, 감정표현의 어려움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또 열쇠아동은 육체적 증상도 일으킨다. 여기에는 수면 패턴의 변화, 식욕 상실, 체중 손실, 위장 질환 등이 있다.
그 결과 학업 성적과 학교에서의 행동까지 영향을 받게 된다.
열쇠아동 증후군의 원인
점점 많은 아이들이 열쇠아동으로 자라게 만드는 이유는 대략 다음과 같다.
- 핵가족의 등장: 과거에는 조부모와 다른 가족 구성원들이 있어서 아이를 보살펴주고 인도했지만 지금은 그렇지 않다.
- 맞벌이 부부가 많아졌다.
- 생활비의 증가로 인해 일하는 시간이 길어졌다. 특히 돌보고 교육 할 아이가 있는 상황에서 그렇다.
- 경쟁이 심한 직업 시장은 부모가 늦게 까지 사무실에 남아 있어야 하는 또 다른 요인이다.
- 고등교육을 받아야 직업 전선에서 경쟁력이 생긴다는 사실은, 부모가 아이의 미래를 위해 돈을 많이 벌고 저축을 해야한다는 것을 뜻한다.
더 읽어보자: 아동기에 받는 감정적 상처
열쇠아동 증후군의 결과
자, 이제 저녁 늦게까지 집에 혼자 남겨진 아이들에게 어떤 결과가 생기는지 살펴보자.
불안
열쇠아동은 쉽게 고립되고 사회적 상황, 스트레스, 혹은 갈등을 피하려 한다.
공황장애
이 증상에는 경미한 환각이나 실물의 왜곡 같은 시각적 변화가 포함된다.
적응 장애
또 하나의 결과는 아이가 나이에 맞지 않는 역할을 강요받는 다는 것이다. 이에 대한 반응으로 아이는 적응 장애를 일으킬 수가 있다.
독립심
열쇠아동은 부모와의 접촉이 적기 때문에, 스스로 지내는 것을 배우게 된다. 이 말은 자유가 더 있고 더 독립적이된다는 것을 뜻한다.
기진맥진한 부모
열쇠아동의 부모는 종종 일을 마치고 기진맥진한 채 집으로 돌아오고, 아이와 이야기를 나눌 힘도 없게 된다. 심지어는 엄마와 아빠가 집에 늦게 들어올 때, 아이가 벌써 자고 있는 상황도 발생한다.
“아이에게 행해지는 일은 사회에 행해지게 될 것이다.”
– Karl A. Meninger
권위의 상실
부모자식간의 관계에서 보자면, 함께 보낸 좋은 시간이 없으면 아이는 부모의 권위에 대한 존경심을 상실하게 된다.
공격성
열쇠아동은 부모에게 공격적이거나 무례해지거나 아니면 일상의 경계가 모호해지기 때문에, 반항하는 행동을 보일지 모른다.
우정
어떤 열쇠아동에게는 친구가 가족의 역할 대신한다. 매일 집에 혼자 있는 아이는 친구들로부터 많은 도움을 받는다. 그 친구들이 이상적인 롤 모델이 아닐 때 문제가 생긴다.
식습관
혼자 남겨지는 아이는 스스로 끼니를 해결하는 걸 배운다. 가족과 함께 식사를 못하게 되고, 그래서 식단이 조촐해진다. 스스로 해결하게 내버려지면, 더 많은 정크푸드를 먹게 된다.
애정 결핍
마지막으로, 열쇠아동은 부모로부터 사랑받고 보살핌을 받는다는 느낌을 받지 못할지도 모른다. 그래서 다른 사람을 사랑하고 신뢰하는 게 더 어려워진다.
요즘은 부모 둘다 오랜 시간 일을 해야할지 모르지만, 적어도 부모로서는 열쇠아동 증후군의 특징인 소원한 관계를 피하도록 최대한 노력해야 한다. 아이와 밀접한 유대를 만들기 위해서는 소통하고 생각을 교환하자.
아이가 무시당한다고 느끼지 않도록 아이의 삶에 적극적으로 관심을 보여주자.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González, E. U. G. E. N. I. O. (2002). Educar en la afectividad. Madrid, Universidad Complutense de Madrid, 2. http://www.surgam.org/articulos/504/12%20EDUCAR%20EN%20LA%20AFECTIVIDAD.pdf
- PALMA HERRERA, A. L. (2017). LA DEPRIVACIÓN AFECTIVA PATERNA Y SU INCIDENCIA EN EL DESARROLLO EMOCIONAL DE LOS NIÑOS Y NIÑAS DEL 1° AÑO DE EDUCACIÓN GENERAL BÁSICA DE LA UNIDAD EDUCATIVA” ALIDA ZAMBRANO GARCÍA” DEL CANTÓN EL CARMEN, PROVINCIA DE MANABÍ, PERIODO LECTIVO 2016-2017(Doctoral dissertation). https://repositorio.uleam.edu.ec/handle/123456789/162
- Bielsa, A. (2010). Carencia afectiva. Centre Londres, 94, 1-19. http://www.centrelondres94.com/files/carencia_afectiva_1.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