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 아동은 학습이 가능할까
자폐 아동은 학습이 가능할까? 매년 4월 2일은 ‘세계 자폐증 인식의 날’로서 자폐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높이기 위해 선포한 날이다. 2020년에는 ‘나는 배우고 일할 수 있다’라는 표어 아래, 자폐 환자들에게 양질의 교육과 취업 기회를 제공하고 편견을 버리는 캠페인을 진행 중이다.
이 글이 자폐 아동 증상과 학습 능력에 관한 편견을 버리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자폐증에 관한 무지로 옳지 않은 편견과 오해가 무성한데 현재 실시하는 지능 검사로는 사실 자폐증을 앓고 있는 사람들의 잠재력을 알아보기 어렵다.
여러 경우의 수가 있을 수 있으니 무조건 일반화해서는 안 된다는 이야기다. 자폐 아동은 모두 스스로 생각하며 학습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는 사실을 기억하자.
자폐 스펙트럼 장애
자폐증 환자는 아동기부터 신경과 발달 장애가 발생하여 평생 그 증상을 안고 사는 사람이 대부분이다. 주로 사회적 상호관계 형성이나 유연한 사고와 행동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자폐증 환자들은 개인차를 보이므로 다양한 관련 증상을 모두 아우르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라는 별칭도 생기게 됐다.
더 읽어보기: 지적 장애 아동과 코로나 격리 기간을 보내는 방법
다소 정도 차이는 있지만 자폐증의 주요 증상은 아래와 같다.
- 사회적 교류에 흥미가 없으며 사람들과 교류하고 관계를 유지하는 일을 힘들어한다.
- 눈을 잘 마주치지 않고 타인의 감정을 인지하거나 공감하지 못한다.
- 반복 행동, 제한된 관심, 극단적인 고집과 순서에 집착한다.
- 감각 통합 장애로 큰 소리, 밝은 빛이나 군중에 노출되기를 꺼린다.
이러한 요인들 때문에 자폐 아동은 학교나 사회에서 사람들과 어울리기 힘들다. 평범한 사람들과 같은 방법으로 학습할 수는 없지만 적절한 환경만 조성되면 다음 같은 장점을 드러낸다.
- 세부 사항까지 자세히 파악하고 논리적으로 생각한다.
- 특정 분야에 집중적인 관심을 쏟으며 깊이 있게 공부하여 전문가 이상의 지식을 쌓기도 한다.
- 대부분 남과 전혀 다른 독특한 방식과 관점으로 사고를 전개한다.
- 듣고 말하는 방식보다 동영상이나 사진 같은 시각적 학습에 빠르게 반응한다.
자폐 아동은 학습이 가능하다!
자폐 아동도 얼마든지 공부하고 충만한 일생을 살 수 있다. 자폐 아동이 행복한 인생을 살려면 무엇보다 빠르게 병을 파악하고 대처할 수 있는 조기 진단이 중요하다.
일찍부터 도움을 받은 자폐 아동은 큰 발전을 보이기도 한다. 자폐 아동의 중재는 보통 사회 기술 및 사회성 향상과 교육 환경 적응에 주력하는데 개별 평가를 통한 장점 파악이 먼저 실시되어야 한다.
더 읽어보기: 학습장애가 있는 자녀를 대하는 방법
중재
시각적 사고 처리가 뛰어난 자폐 아동이라면 사진이나 그림 교육이 효율적이다. 독서를 즐기는 아이라면 관심사가 비슷한 또래들과 함께 시간을 보내며 천천히 신뢰를 쌓도록 한다.
아이의 우선순위와 필요에 맞춰 편안한 환경을 제공한다. 담당 교사가 모두에게 충분한 관심을 쏟을 수 있도록 적당한 인원으로 반을 구성하여 개별 능력에 맞는 도전 과제를 주는 것도 중요하다.
원하는 성과를 이루도록 격려하되 부담을 주거나 짜증 나게 만들지 않다. 과하게 도움을 주면 아이의 자주적 발달을 제한할 수 있으니 균형을 찾도록 하자.
공감, 긍정적 강화, 일관성과 초기 중재가 가능하다면 자폐 아동의 학습력 발달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가족과 건강 및 교육 전문가들이 힘을 합친다면 자폐 아동의 잠재력을 개발하는 다양한 맞춤 교육을 할 수 있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Dawson, M., Soulières, I., Ann Gernsbacher, M., & Mottron, L. (2007). The level and nature of autistic intelligence. Psychological science, 18(8), 657-662.
- Millá, M. G., & Mulas, F. (2009). Atención temprana y programas de intervención específica en el trastorno del espectro autista. Rev neurol, 48(Supl 2), S47-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