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 시절의 애정 결핍이 가져오는 결과

부모의 관심 부족은 아이의 어린 시절 및 앞으로의 단계에 있어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어떤 결과가 발생할 수 있는지 확인해 보도록 하자.
어린 시절의 애정 결핍이 가져오는 결과

마지막 업데이트: 12 5월, 2019

모든 아이는 사랑과 관심을 충분히 받아야 한다. 그러나 모든 아이가 필요한 애정을 받으며 자라는 건 아니다. 이 글에서는 어린 시절의 애정 결핍이 가져오는 결과에 관해 설명하고자 한다.

부모는 점점 더 바빠지고 끝없는 걱정거리를 안고 살아간다. 그렇지만 여전히 부모가 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일 중 하나는 자녀에게 필요한 애정을 쏟아부어 주는 것이다.

유년기에 받은 애정과 미래의 건강 및 성인기의 행복 사이에는 긴밀한 연관성이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부모는 자녀를 위한 사랑의 환경을 조성하고 그들을 안내하며 충분히 지원해 주어야 한다.

소중한 가족과 보내는 시간은 감정을 표현하고 긍정적인 가족 분위기를 조성할 좋은 기회다.

어린 시절의 애정 결핍이 가져오는 결과

지금부터 어린 시절의 애정 결핍이 가져오는 결과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주의를 기울여 자녀의 이 중요한 필요를 충족시켜 주도록 하자.

1. 감정 파악이 어려워진다

애정 결핍으로 인한 첫 번째 결과는 아이들이 자신의 감정을 파악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는 점이다. 관심 부족으로 인해 부모는 자녀가 건강한 방법으로 감정을 다루는 방법에 대해 가르쳐주지 않았다.

그래서 결과적으로 많은 아이가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인식하지 못하게 된다. 심지어 마음이 공허하고 비어 있는 느낌이 들게 될 수도 있다. 

어린 시절의 애정 결핍이 가져오는 결과

유아는 주로 말과 몸짓을 통해 감정을 해석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하지만 아이가 충분한 애정을 받지 못하면, 자신이 느끼는 감정을 인식하고 식별할 수 없게 된다.

2. 능력의 결함이 생길 수 있다

역할을 잘하지 못하는 부모를 둔 아이들은 일반적으로 거의 모든 분야의 일을 잘 수행하지 못한다. 이 아이들은 인지, 애착, 정서적 능력 및 사회적 능력에 결함이 있는 경향이 있다.

보호자의 감정적인 민감함과 사랑을 경험해보지 못했기 때문에, 이 아이들은 나중에 자신의 삶에 대한 애착을 형성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부모가 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일 중 하나는 자녀에게 필요한 애정을 쏟아부어 주는 것이다.”

3. 애정 결핍이 낮은 자존감으로 이어진다

어린 시절의 애정 결핍은 미래에 아이들이 자기 자신과 맺게 될 관계가 매우 힘들어지게 만든다. 때로는 자기 자신이 최악의 적, 또는 자신을 향한 신랄한 비평가처럼 느껴질 수도 있다.

자존감과 관련한 이러한 문제는 자신이 지금 느끼는 것과 느끼고 싶은 것 사이의 끊임 없는 싸움이 될 수 있다. 이는 아이들이 다른 사람들을 판단하는 것보다 자기 자신을 더 심하게 판단하는 결과를 낳는다. 

자신을 사랑하는 법을 배우는 건 긴 여정이지만, 아이들이 자신을 중요한 사람으로 여기고 다른 누구와도 다른 존재임을 깨닫도록 해 주어야 한다. 이는 아이들이 자신 및 다른 사람들을 바라보는 방식을 변화시킨다.

3. 자존감이 낮아진다 

4. 다른 사람을 신뢰하지 못한다

마지막으로, 어린 시절의 애정 결핍은 아이가 다른 사람을 신뢰하지 못하도록 만든다. 이러한 상황에서, 그들은 사랑하는 삶들이 필연적으로 그들에게 상처를 줄 거라고 끊임없이 걱정하게 된다.

안정적이고 환영받는 환경에서 자라지 않으면 아이들은 미래에 다른 사람들을 쉽게 신뢰하지 못할 수 있다. 물론, 이는 거의 모든 종류의 장기적인 관계를 어렵게 만든다. 

신뢰는 긍정적인 감정적 애착 형성에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어른으로부터의 애정과 보호를 경험하지 못하면, 스스로 상처받지 않도록 방어 메커니즘을 개발할 가능성이 더 크다.

결론적으로, 어린 시절의 애정 결핍은 부모가 자녀에게 주어야 하는 가장 중요한 것을 잊어버릴 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그것은 바로 사랑이다.

엄마로서 우리는 자녀가 최우선 순위인지를 확인하고, 그들이 필요로 하는 사랑과 관심을 쏟아부어 주어야 한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Nerín, N. F., Nieto, M. A. P., & Pérez, M. J. de D. (2014). Relación entre los estilos de crianza parental y el desarrollo de ansiedad y conductas disruptivas en niños de 3 a 6 años. Revista de Psicología Clínica Con Niños y Adolescentes1(2), 149–156. https://doi.org/10.7771/2327-2937.1083
  • Baena, A., Sandoval, M., Urbina, C., Juárez, H., & Villaseñor, S. (2005). Los trastornos del estado de ánimo. Revista Digital Universitaria6(1), 2–14. https://doi.org/10676079
  • Bowlby, J. (1986). Vínculos afectivos: formación, desarrollo y pérdida. Madrid: Morata.
  • Bowlby, J. (1995). Teoría del apego. Lebovici, Weil-HalpernF.
  • Garrido-Rojas, L. (2006). Apego, emoción y regulación emocional. Implicaciones para la salud. Revista latinoamericana de psicología, 38(3), 493-507. https://www.redalyc.org/pdf/805/80538304.pdf
  • Marrone, M., Diamond, N., Juri, L., & Bleichmar, H. (2001). La teoría del apego: un enfoque actual. Madrid: Psimática.
  • Moneta, M. (2003). El Apego. Aspectos clínicos y psicobiológicos de la díada madre-hijo. Santiago: Cuatro Vientos.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