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도하게 허용적인 양육의 결과
과도하게 허용적인 태도로 자녀를 양육하면 자녀에게 해가 되고 오히려 자녀의 자존감이 낮아질 수 있다. 그리고 심지어 자녀가 길을 잃고 사랑받지 못한다고 느끼게 만들 수도 있다. 허용적인 양육이란 과도한 관용을 의미한다. 일부 부모들은 자녀가 분명한 규칙 없이 성장하며, 혼란스럽고 불행한 느낌이 들도록 만든다.
과도하게 허용적인 양육의 결과 중 하나는 주변 사람들을 조종하는 데 익숙한 “버릇없는” 아이로 자라게 된다는 것이다. 무엇보다도 이로 인한 최악의 결과는 장기적으로 자녀가 길을 잃고, 사랑받지 못한다고 느끼게 만든다는 것이다.
자녀는 부모가 가르쳐 주고 또 지도해 주기를 기대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부모가 지나치게 허용적인 태도를 보이면, 자녀는 오히려 자신이 관심을 받지 못한다고 느끼고 이로 인해 자존감이 낮아진다.
이렇게 명확한 한계를 설정하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는 일반적으로 부모의 훈육 도구가 부족하기 때문에 생긴다. <베사메 무초(Besame Mucho)>의 저자인 카를로스 곤잘레스(Carlos Gonzales)는 다음과 같이 자유방임적인 양육을 설명한다.
“오늘의 허용은 내일 과도한 반응을 불러일으키고, 결과적으로 아이는 혼란스럽고 불행해진다.”
과도하게 허용적인 양육의 결과
행동 문제
허용적인 양육의 가장 심각한 결과 중 하나는 자녀에게 행동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어릴 때부터 규칙이나 제한이 주어지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다.
낮은 자존감
자유의 남용, 규칙의 부재, 존중과 이해를 바탕으로 한 부모와의 건전한 관계의 부재는 낮은 자존감과 같은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과도하게 관대하거나 아니면 단절된 부모는 자녀의 자존감이 낮아지게 만든다.”
게으름
명확한 규칙과 일과가 없으면 아이의 책임감 발달에 방해가 될 수 있다. 이는 나쁜 습관과 미루는 버릇을 초래한다.
낮은 문제 해결력
과도한 관용은 아이들이 독립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사회적, 정서적 기술을 개발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 중 일부는 부모의 지도를 통해 달성될 수 있는 감성 지능을 장려해야 개발된다.
충동
보다시피, 관대함은 많은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관대함은 또한 아이들이 미숙하고 충동적인 성격을 갖도록 만들 수 있다.
권위주의와 관용 사이의 균형
그렇다면 부모가 단호해지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단호하다는 건 권위주의적이라는 의미가 아니다.
아이가 건강한 방식으로 성장하려면 부모가 어린이로서(조숙한 성인이 아닌) 아이를 존중해야 한다. 또한 아이는 세상에서 자신을 다루는 방법을 꼭 배워야 한다.
아이와 건강한 관계를 유지하려면 의사소통을 하고 타협에 도달하는 게 중요하다. 아이들은 결과에 대한 두려움 때문이 아니라 의식적으로 규칙을 따르고 존중해야 한다.
그리고 부모는 가정에서의 규칙이 아이의 변덕에 따라 타협이 이뤄져서는 안 된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일관성은 매우 중요하다.
올바른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팁
어떤 부모도 고의로 자녀를 해치고 싶어 하지 않는다. 또 어떤 부모들은 자녀의 변덕에 따라 모든 걸 해주는 것을 사랑이라고 혼동한다.
이상적으로는 부모가 자녀에게 좋은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공정하게 결정해야 한다. 그렇게 하면 아이들은 자신의 행동을 조절하는 방법을 배우게 된다.
자녀를 훈육하는 방법을 아는 부모가 있으면 자녀가 권위, 가치관 및 건전한 관계를 발전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대부분의 양육 전문가는 양육에 있어 규칙과 징계가 필요하다는 데에 동의한다. 이는 아이들이 자신의 행동이 어떤 결과를 초래한다는 사실을 이해하도록 도와준다.
따라서 부모가 자녀를 위한 명확한 규칙을 설정하는 게 중요하다. 집안의 규칙은 아이들에게 일관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도록 부부 사이에서 논의되어야 한다.
이 팁을 따르고 배우자 또는 전문가와 논의하면 허용적인 양육의 해로운 결과로부터 가족을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엄마로서 부모나 배우자가 아이의 변덕에 굴복하지 않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 이런 문제가 발생하면 우리는 반드시 해결을 해야 한다.
아이를 위로해주는 건 나쁜 일이 아니지만, 아이는 노력과 성취의 관계를 반드시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서 자신의 목표와 특권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Robinson, C. C., Mandleco, B., Olsen, S. F., & Hart, C. H. (1995). Authoritative, authoritarian, and permissive parenting practices: Development of a new measure. Psychological reports, 77(3), 819-830. https://journals.sagepub.com/doi/abs/10.2466/pr0.1995.77.3.819
- Neal, J., & Frick-Horbury, D. (2001). The effects of parenting styles and childhood attachment patterns on intimate relationships. Journal of Instructional Psychology, 28(3), 178-178. https://go.gale.com/ps/anonymous?id=GALE%7CA79370572&sid=googleScholar&v=2.1&it=r&linkaccess=abs&issn=00941956&p=HRCA&sw=w
- Hinnant, J. B., Erath, S. A., Tu, K. M., & El-Sheikh, M. (2016). Permissive parenting, deviant peer affiliations, and delinquent behavior in adolescence: The moderating role of sympathetic nervous system reactivity.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44(6), 1071-1081. https://link.springer.com/article/10.1007/s10802-015-0114-8
- Ang, R. P. (2006). Effects of parenting style on personal and social variables for Asian adolescents.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76(4), 503-511. https://onlinelibrary.wiley.com/doi/abs/10.1037/0002-9432.76.4.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