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증을 겪는 아이가 세상을 보는 법을 알아보자

자폐증을 겪는 아이가 세상을 보는 법을 알아보자

마지막 업데이트: 18 9월, 2018

타인이 세상을 어떻게 바라보고 경험하는지 상상하는 것은 절대 쉬운 일이 아니다. 더군다나 자폐증을 겪는 아이와 같은 입장이 되어보거나, 그런 아이가 주변을 어떻게 인지하고, 어떻게 느끼고 생각하는지 이해하는 것은 더더욱 어렵다.

물론 다른 사람의 입장이 되어보는 것은 간단한 일이 아니지만, 노력해볼 만한 가치가 있다. 자폐증을 겪는 아이가 세상을 어떻게 바라보는지 알게 되면, 그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자극과 자폐증

자폐를 앓는 아이들은 일상에서 단순히 그들의 삶뿐 아니라 사회가 그들을 바라보는 방식에서 많은 장애물을 마주한다. 가끔 다른 사람들은 그들이 어떻게 느끼고 그들을 둘러싼 세상이 그들을 어떻게 바라보는지 전혀 모를 때도 있다.

북적거리는 쇼핑몰에 가는 것처럼 당신에게는 평범한 상황이 자폐를 앓는 아이에게는 스트레스를 주고 위협적인 일일 수 있다.

자폐증을 겪는 사람들은 그들의 환경에서 받는 자극에 굉장히 민감하다. 감각적인 자극들로 공세를 당하면, 혼란스러워하고 압도되고 괴로워할 수 있다.

아이가 자폐증을 앓는 아이가 떼를 쓰면, 항상 원인이 있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이는 관심을 받으려고 그러는 것이 아니라 무언가가 그들의 인내심의 한계까지 압박한 것이다.

자폐아가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에 대한 이해

자폐증 협회가 실시한 캠페인에서는 이 상황을 “너무 많은 정보”라고 정리한다. 이 기관은 대중에게 자폐증을 겪는 아이가 세상을 바라보는 법을 이해할 수 있게 교육하고 강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자폐증을 앓는 아이가 과다한 자극을 받아들이면 굉장히 힘들어할 수 있다. 

이런 점에 비추어 자폐증 협회는 자폐증을 앓는 아이들과 어른들이 공공 장소를 떠나주길 요청받는 상황이 일어나지 않도록 자폐증에 관한 일반 의식을 높이려고 한다.

자폐증을 앓는 사람들과 가족들은 사회가 그들을 이해하지 못하고 고립시킨다고 느낀다.

자폐증을 겪는 아이가 세상을 보는 법을 알아보자

자폐증을 겪는 아이의 는 다르게 “연결되어 있다”. 이것은 매일 상황을 혼란스럽게 만들 수 있다. 모든 장면들이 동시에 일어나고 시간 내에 들어오는 모든 정보를 이해해야 하기 때문에, 분명 큰 고통을 야기한다.

이제 사회가 자폐를 앓는 아이들이 세상을 보는 법을 알릴 때가 됐다. 인식이 높아져야 자폐증을 앓는 많은 사람들을 그만 고립시키고, 좀 더 자유롭게 해줄 수 있다.

자폐증을 가진 아이들에게 사람들, 소음, 불 빛, 냄새 그리고 색깔로 가득한 공간은 자극들의 공세를 받는 것을 의미한다.

자폐증을 겪는 아이가 세상을 보는 법을 알아보자

반응하는 방법

자폐를 앓고 있는 아이들이 언제 과도한 자극으로 인해 “부적절한” 행동을 표현할 때에 어떻게 반응을 해야 하는지 사람들이 알고 있는 것도 도움이 된다.

자폐증을 앓는 아이들은 우리 공동체의 일원이기 때문에 그런 아이들이 편안함을 느낄 수 있게 도와줘야 한다. 아래는 몇 가지 대책들이다.

  • 아이가 정보를 처리할 시간을 주기
  • 아이가 떼를 쓸 때에 모여있거나 아이 혹은 그 가족들을 평가하지 말기
  • 아이가 진정할 수 있도록 그 가족들이 조용하고 안전한 공간을 조성할 수 있게 하기
  • 가족들에게 어떤 도움이 필요한지 물어보기
  • 내가 너무 힘들 때에 어떻게 대우받고 싶은지 생각해보기
  • 공감하되 비난하지 않기

자폐증이 있는 아이는 아마 “나는 나쁘지 않았다, 나는 자폐가 있고 그저 너무 많은 정보를 받아들이게 된다”라고 말할 것이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Álvarez, I., & Arroyo Ignacio, C. (2016). Bases genéticas del autismo. Acta Pediátrica de México. https://doi.org/10.18233/apm31no1pp22-28
  • Assumpção Jr, F. B., & Pimentel, A. C. M. (2000). Autismo infantil. Brazilian Journal of Psychiatry, 22, 37-39. http://www.scielo.br/scielo.php?pid=S1516-44462000000600010&script=sci_arttext&tlng=pt
  • Cuxart i Fina, F. (2000). El Autismo : aspectos descriptivos y terapéuticos. Aljibe.
  • Ritvo ER, Ornitz EM. (1976). Autism: diagnosis, current research and management. New York: Spectrum.
  • Rivière, A. (2001). Autismo. Orientaciones para la intervención educativa. Madrid: Trotta. SA Cómo potenciar la comunicación en el alumnado con trastorno del espectro autista.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