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 호흡장애 증후군

조기 분만의 우려가 있는 여성에게는 일반적으로 글루코코티코이드를 투여한다. 이러한 호르몬은 아기의 폐가 성장하도록 도움을 주면서 출생 시 호흡장애 증후군의 위험을 줄인다.
신생아 호흡장애 증후군

마지막 업데이트: 19 9월, 2020

호흡장애 증후군(RDS)은 일반적으로 신생아에게 발생하는 호흡기 증후군이다. 이는 폐의 표면 활성제 부족으로 인해 유발되며 폐가 완전히 발달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표면 활성제는 임신 34주가 지나야 생성된다. 신생아 호흡장애 증후군에 대해서 좀 더 알아보자!

표면 활성제란?

표면 활성제는 숨을 쉴 수 있도록 폐포가 열린 상태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는 지질과 단백질을 포함한 액체이다. 표면 장력을 줄이고 공기가 나올 때 폐포가 닫히지 않도록 하는 것이 주된 목표이다.

따라서 신체가 표면 활성제를 생성하지 않으면 공기가 나온 후 폐포를 열기 위해 더 많은 압력이 필요하다. 이로 인해 폐가 부어올라 폐부종이 발생할 수 있다. 혈액에는 산소가 충분하지 않게 되며 몸 전체의 산소 가용성이 줄어든다.

호흡장애 증후군은 조산아와 특히 34주가 되기 전에 태어난 신생아가 겪는 호흡 부전의 주된 원인이지만, 임신 주 수가 짧을수록 위험이 더 높다.

신생아의 호흡 장애 증후군

주된 위험 요인

호흡장애 증후군을 유발하는 주된 위험 요인은 조산이다. 또한 이 증후군에는 다음과 같은 선행 요인이 있다.

  • 막의 조기 파열
  • 분만 유도
  • 제왕 절개 분만
  • 당뇨병이 있는 산모
  • 분만 중 심한 출혈
  • 다태 출산
  • 태변 착색 양수

신생아 호흡장애 증후군 증상

호흡장애 증후군이 있는 아기의 주된 증상은 다음과 같다.

  • 우는 동안 호흡 곤란을 겪음
  • 빠른 호흡수
  • 호흡 시 비정상적인 가슴 움직임
  • 코 벌렁임
  • 두근거림
  • 청색증, 피부가 푸르스름하게 변색하는 증상

호흡장애 증후군을 치료하지 않으면 잠재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은 다음과 같다.

  • 대사 장애
  • 폐 기능 감소
  • 저혈압
  • 뇌내출혈
  • 패혈증 또는 감염
  • 기흉: 무기폐
신생아의 호흡 장애 증후군

신생아 호흡장애 증후군 치료

전형적인 치료는 아기에게 표면 활성제를 투여하고 기계적 인공호흡기를 사용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일부 부모는 기관 삽관이 필요한 두 번째 대안을 좋아하지 않는다.

하지만 비외과적인 양식이 있다. 좋은 예후로 영향을 덜 받는 아기는 일반적으로 미숙아이다. 이러한 아이들은 코를 통해 일정한 기압으로 산소를 공급받기만 하면 된다.

합성 표면 활성제를 조기에 투여하면 사망률과 합병증이 줄어들고 기계적 인공호흡기의 필요성이 낮아진다는 점에 유의하자.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합성 표면 활성제는 베락탄트, 포락탄트 알파, 칼팩턴트, 루시낙탄이다.

치료를 받으면 예후는 긍정적이다. 환기를 통해 폐는 스스로 표면 활성제를 생성하기 시작하며 며칠 안에 과정이 해결된다.

신생아의 호흡 장애 증후군

신생아 호흡장애 증후군을 예방하는 방법

조기 분만이 임박하면 산모에게 베타메타손과 같은 글루코코르티코이드를 투여한다. 이는 태아의 폐가 성장하여 표면 활성제를 생성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실제로 출생 전 양수를 통해 아기의 폐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의사가 아기가 태어나기 전 호흡장애 증후군에 대한 준비를 마치고 치료를 시작하는 데 도움이 된다.

요컨대, 가능하다면 임신 39주나 태아의 폐가 완전히 발달할 때까지 출산을 늦춰야 한다. 조산은 늘 예방이 최상책인 더 많은 위험을 초래한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Fehlmann, E., Tapia, J. L., Fernández, R., Bancalari, A., Fabres, J., D Apremont, I., … & Ceriani Cernadas, J. M. (2010). Impacto del síndrome de dificultad respiratoria en recién nacidos de muy bajo peso de nacimiento: estudio multicéntrico sudamericano. Archivos argentinos de pediatría108(5), 393-400.
  • Jonguitud-Aguilar, A., & Salazar-Juárez, M. (2007). Los olvidados: epidemiología del paciente prematuro tardío con síndrome de dificultad respiratoria. Perinatología y Reproducción Humana21(4), 178-184.
  • Morales-Barquet, D. A., Reyna-Ríos, E. R., Cordero-González, G., Arreola-Ramírez, G., Flores-Ortega, J., Valencia-Contreras, C., … & Villegas-Silva, R. (2015). Protocolo clínico de atención en el recién nacido con síndrome de dificultad respiratoria. Perinatología y Reproducción Humana29(4), 168-179.
  • Castro López, F. W., Labarrere Cruz, Y., González Hernández, G., & Barrios Rentería, Y. (2007). Factores de riesgo del Síndrome Dificultad Respiratoria de origen pulmonar en el recién nacido. Revista Cubana de Enfermería23(3), 0-0.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