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천식 치료에 관해 알아야 할 사항

급성 천식 발작에 직면했을 때 가장 중요한 게 바로 저산소혈증을 치료하는 것이다. 저산소혈증은 혈액 내 산소 압력이 감소하는 증상을 말한다.
어린이 천식 치료에 관해 알아야 할 사항

마지막 업데이트: 12 1월, 2020

천식은 유년기 동안 가장 빈번한 만성 질환 중 하나이다. 또한 최근 몇 년 동안 이 질환은 증가하고 있으며 많은 양의 약물을 소비하도록 하는 공중 보건 관련 문제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어린이 천식 치료에 관해 알아야 할 사항에 중점을 둔다.

천식이란?

‘III 국제 소아 협회(III International Pediatric Consensus)’에 따르면, 천식은 “천식이 가능하고 다른 덜 빈번한 질병이 배제된 상황에서 나타나는 반복적인 천명 및 영구적인 기침“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

천식 발작의 가장 흔한 증상은 다음과 같다.

어린이 천식 치료

천식 치료는 일반적으로 2개의 큰 부분으로 나뉜다. 그리고 한편으로 우리는 급성 위기 치료와 만성 유지 관리 치료법을 가지고 있다. 어린이 천식 치료의 주요 목표는 다음과 같다. 

어린이 천식 치료에 관해 알아야 할 사항
  • 만성 증상 감소 및 제거
  • 급성 위기의 발병 예방
  • 약물 사용과 그 부작용 최대한 피하기

그리고 어린이 천식 치료에 사용되는 주요 약물은 다음과 같다.

  • 증상 완화를 위한 기관지 확장제
  • 질병을 통제하는 항염증제

급성 천식 발작 치료

급성 천식 발작에 직면했을 때 가장 중요한 게 바로 저산소혈증을 치료하는 것이다. 저산소혈증은 혈액 내 산소 압력이 감소하는 증상이다. 실제로 이는 천식 위기 상황에 처한 어린이에게서 수행되는 첫 번째 평가이다.

이때 의사는 동맥혈에서의 산소 분압을 평가하기 위해 산소 포화도를 측정하는 맥박 산소 측정기를 사용한다. 따라서 그 결과를 기반으로 의사는 심각도에 따른 위기를 분류할 수 있다. 

  • 약한 정도: O2 포화도가 94% 이상
  • 중간 정도: O2 포화도가 91~94% 사이
  • 심한 정도: O2 포화도가 91% 이하

동맥혈의 산소 분압이 91% 또는 60mmHg 이하로 감소하면 저산소혈증으로 분류한다. 이 경우, 아이는 긴급하게 병원으로 이송되어야 한다. 합병증의 위험이 있거나, 고위험 병력이 있거나, 치료에 대한 반응이 부족한 경우도 마찬가지다.

급성 위기의 경우 첫 번째 옵션으로 사용되는 치료법은 베타-2-아드레날린 약물을 흡입하여 투여하는 것이다. 그것은 가압실 흡입기 시스템 또는 의료용 분무기로 투여된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약물은 살부타몰이다. 다른 옵션으로는 이프라트로피움 브로마이드 또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류가 있다.

어린이 천식 치료에 관해 알아야 할 사항

산소 주입은 94% 미만의 산소 포화도를 갖는 모든 환자에게 필요하다. 따라서 검사를 철저히 수행하고 통제하려면 병원에 의뢰하는 게 중요하다.

어린이 천식의 관리 치료

만성 유지 관리 치료에 관해 이야기할 때는 어린이의 나이를 고려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약리 치료와는 별도로 의사는 면역 요법의 옵션을 평가하고 교육 공간에서의 질병 및 위기관리에 특히 중점을 둔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어린이 천식 치료 중 가능한 한 약물의 만성적 복용을 피해야 한다. 필요하다면 점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기본 치료로 시작해야 한다.

천식 유지 치료 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약물은 부데소니드 또는 플루티카손과 같은 흡입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이다. 바람직하지 않은 부작용을 피하고자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복용량을 조절하는 게 중요하다. 복용량을 늘려야 한다면 기관지 확장제와 함께 복용하는 게 좋다.

만 3세 미만 어린이에게서 나타나는 대부분 천식 발작은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것이다. 치료와는 상관없이 이 증상은 사라지므로, 혜택보다는 손상을 더 많이 일으킬 수 있는 불필요한 약물을 남용하면 안 된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Escribano Montaner, A., Ibero Iborra, M., Garde Garde, J., Gartner, S., Villa Asensi, J., & Pérez Frías, J. (2003). Protocolos terapéuticos en asma infantil. Protocolos Diagnóstico-terapéuticos AEP. Neumología y Alergia. Madrid: Asociación Española de Pediatría, 187-210.
  • Laita, J. C., Fernández, J. D. B., Montaner, A. E., Benítez, M. F., de la Rubia, S. G., Garde, J. G., … & Martínez, C. P. (2007, September). Consenso sobre tratamiento del asma en pediatría. In Anales de Pediatría (Vol. 67, No. 3, pp. 253-273). Elsevier Doyma.
  • de Arriba Méndez, S., Pellegrini Belinchón, J., Ortega Casanueva, C. (2016). Tratamiento del niño asmático. Pediatr Integral; XX (2): 94-102.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