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의 공포를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되는 5가지 활동

일상에서 직면하는 두려운 상황을 이겨내려고 애쓰는 아이를 도울 수 있는 몇 가지 방법들을 소개하겠다.
아이의 공포를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되는 5가지 활동

마지막 업데이트: 03 11월, 2018

아이의 공포를 극복하는 데 쉬운 방법은 없다. 아이들이 성장하며 거치는 자연스러운 단계지만 복잡미묘한 상황이기도 하다. 이 글에서 아이의 공포를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되는 활동을 소개하지만, 그 외에도 부모의 인내심이 요구된다.

부모로서 아이의 공포를 다루는 일은 짜증이 날 수도 있다 공포는 비이성적인 감정이기 때문이다. 대개 부모의 어떤 말로도 아이의 불안고 공포를 달래기는 쉽지 않다. 대체 어떻게 하면 좋을지 당황스러울 때도 있을 것이다.

아이는 어른이 보기에는 전혀 두렵지 않은 특정 상황이나 물건에 대한 공포를 느낄 수도 있다. 이런 현상은 모든 문화에서 나타날 수 있다.

어쨌든 유아기 공포는 성장 과정의 일부이다. 유아기 공포를 극복하는 법을 가르쳐야 할 나이는 약 1세 때부터이다. 아이가 4세에서 6세쯤 되면 공포심이 더 두드러지게 나타날 수 있다. 공포는 아이 성장 발달의 한 단계일 뿐이다. 몇몇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공포를 극복하는 데는 정신적 도움이 필요하다.

공포의 원인은 아이의 나이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침대 밑에 사는 괴물이나 어둠에 대한 공포가 좀 더 자라면 낯선 사람이나 폭력에 대한 공포로 바뀔 수 있다.

아이의 공포를 극복하는 교육에서 주의 사항

아동기 공포 극복 교육에서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주의해야 한다.

  • 아이의 공포에 관해 놀리거나 억지로 대면하게 하는 일은 상황을 악화할 수 있다.
  • 아이의 공포심을 진지하게 생각하고 극복법을 같이 상의하면 큰 도움이 된다.
  • 무엇보다 아이의 공포심을 뭐라고 하거나 억지로 그 상황을 직면하게 해서는 안 된다.
  • 아이의 공포심 극복을 도우려면 아이의 감정을 이해해야 한다.
  • 어떤 상황이 두렵고 걱정이 되는지 아이와 대화하며 격려한다. 대화를 통해 아이 스스로 공포를 이겨낼 기회를 주고 부모에게 의지해도 된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아이가 공포감을 가지는 원인

어떤 아이는 공포에 더 약하다. 공포를 느끼는 원인에 대해 먼저 알아보자.

  • 유전적 감수성: 천성적으로 더 예민하고 정서적 기질이 강한 아이가 있다.
  • 부모에 대한 불안: 아이는 부모를 행동의 본보기로 삼는다.
  • 부모의 과보호: 부모에게 의존적인 아이는 자신이 무력하다고 느끼며 매사에 불안할 수 있다.
  • 스트레스가 많은 상황: 부모와 떨어지거나 다친 경우 또 입원 등 특정 상황이 아이 마음에 부담을 줄 수 있다.
아이의 공포를 극복하는 데

아이의 공포를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되는 5가지 활동

다음은 유아기 공포 극복에 도움이 되는 활동 5가지다. 실생활에서 꼭 실천해보길 바란다.

1. 공포에 관한 책 읽고 극복하기

아이에게 공포에 관한 책을 읽어주거나 역할극을 하거나 이야기를 해주는 일은 공포 극복에 도움이 된다. 이런 방법을 독서 치료 또는 이야기로 표현하기라고 하는데 아이가 자신과 같은 공포를 극복하는 주인공을 보며 동질감을 느낄 수 있어서 유익하다.

2. 공작 활동 활용

창의적 활동을 통해 아이의 무의식적 공포를 표현할 수 있다. 아이가 공포에 대해 말을 잘하지 못하면 빈 종이를 주고 공포에 관한 그림을 그려보라고 한다. 아이가 그림을 완성하면 함께 이야기하고 공포심을 극복할 방법을 찾아본다.

‘아이의 공포심을 야단치거나 무서운 상황을 억지로 직면하게 해서는 안 된다.’

3. 순위 정하기

아이에게 두려움을 느끼는 것들을 써보라고 하고 가장 무서운 순위부터 정리해본다가장 무서운 일은 가장 낮은 온도로 나타내는 것처럼 온도를 이용해서 공포를 표현하기도 재미있다. 어린아이는 약간의 도움이 필요할 수도 있지만 스스로 어떤 상황이 더 두렵고 무서운지는 표현할 수 있다.

아이가 무서운 일의 순위를 정하면 이 목록에 관해 이야기해본다.

유아기 공포 목록 작성

4. 술래잡기

술래잡기는 아이들 놀이 말고도 포기와 이별을 가르치는 데 활용해볼 수 있다. 술래잡기는 공포와 홀로 싸우는 법 교육에도 쓸 수 있다.

5. 어른의 두려운 상황 인정하기

부모도 어떤 순간이나 물건에 두려움을 느낀다고 아이에게 말하고 그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어떻게 하는지 설명한다. 부모를 본보기 삼아 아이도 어려운 단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아이는 부모의 행동 외에도 부모가 느끼는 감정과 경험 등을 따라 하려고 한다. 부모가 겪었던 일들을 들으며 아이는 자기감정을 표현하는 방법을 배우게 된다.

아이의 공포를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되는 방법은 많으니 아이에게 잘 맞는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무엇보다 부모가 항상 아이 곁에서 힘이 되고 응원하리라는 것을 알게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반드시 부모가 곁에 있어야만 한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Aguilar Melchor, J. M. (2022). Tratamiento cognitivo-conductual de fobia a la oscuridad: un estudio de caso. Máster de Psicología General Sanitaria, Universidad Europea de Madrid.  https://titula.universidadeuropea.com/handle/20.500.12880/2116
  • Herringa, R. J., Birn, R. M., Ruttle, P. L., Burghy, C. A., Stodola, D. E., Davidson, R. J., & Essex, M. J. (2013). Childhood maltreatment is associated with altered fear circuitry and increased internalizing symptoms by late adolescence.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10(47), 19119–19124. https://www.pnas.org/doi/full/10.1073/pnas.1310766110
  • Méndez, F. X., Inglés, C. J., Hidalgo, M. D., García-Fernández, J. M., & Quiles, M. J. (2003). Los miedos en la infancia y la adolescencia: un estudio descriptivo. Revista Electrónica de Motivación y Emoción, 6(13), 150-163. http://reme.uji.es/articulos/amxndf4650710102/texto.html
  • Rafihi-Ferreira, R. E., Alckmin-Carvalho, F., Silvares, E. F. D. M., & Ollendick, T. (2021). Biblioterapia para Medos Noturnos em Crianças: Um Estudo de Caso. Psicologia: Ciência e Profissão, 41. https://www.scielo.br/j/pcp/a/Qbn5VLxJNpMyygDH5B8S9jP
  • Sandín, B., Chorot, P., Valiente, R. M., & Germán, M. Á. S. (1998). Frecuencia e intensidad de los miedos en los niños: Datos normativos. Revista de Psicopatología y Psicología Clínica, 3(1), 15-25. http://revistas.uned.es/index.php/RPPC/article/view/3853
  • Sias Salas, S. S., Ayala Escandón, C. de la L., & Pichardo Solís, V. A. (2021). El dibujo como medio de evaluación del miedo/ansiedad en niños de 5 a 8 años en atención dental. Estudio descriptivo. Revista De Odontopediatría Latinoamericana, 8(2). https://www.revistaodontopediatria.org/index.php/alop/article/view/155
  • Valiente, R. M., Sandín, B., & Chorot, P. (2002). Miedos comunes en niños y adolescentes: Relación con la sensibilidad a la ansiedad, el rasgo de ansiedad, la afectividad negativa y la depresión. Revista de psicopatología y Psicología clínica, 7(1), 61-70. http://revistas.uned.es/index.php/RPPC/article/view/3922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