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대탈출증은 무엇일까?

대부분의 임신은 합병증 없이 만삭을 맞이한다.
제대탈출증은 무엇일까?

마지막 업데이트: 23 12월, 2018

대부분의 임신은 합병증 없이 만삭을 맞이한다. 일반적으로 대부분 임신 관련 문제는 그 과정을 잘 관찰하면 해결된다. 하지만 사실 긴 임신 동안에는 항상 많은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오늘은 그중에서도 제대탈출증은 무엇인지, 제대탈출증에 따른 위험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의사는 제대탈출증을 피하기 위해서 매우 신경을 쓴다. 이는 임신 중에도, 산고 중에도 일어날 수 있다.

물론 대부분은 경미하고 그 결과가 치명적이지는 않지만 10명 중 1명은 제대탈출증을 겪게 된다.

제대탈출증은 왜 발생할까?

제대탈출증은 출산 중에 흔하게 발생하지만 임신의 마지막  몇 달 동안에 일어날 수도 있다. 아기가 활동적일 수록, 탯줄이 압박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

압박이 일시적이고 별다른 영향이 없으며 오랜 기간 동안 일어나도 위험하지 않을 수도 있다.

탯줄은 발달 과정 동안에 종종 압박을 받고 늘어난다. 아기의 움직임이 항상 탯줄을 압박하는 것은 아니지만 어느 정도는 발생하는 것이다.

출산 과정에서는 당연히 여러 가지 역학에 의해서 탯줄 압박으로 인한 제대탈출증이 나타날 수 있다.

제대탈출증은 무엇일까?

자궁 내 태아의 활동이 탯줄을 압박하는 일은 드물다. 오히려 막이 너무 일찍 터져서 제대탈출증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이 되는 경향이  있다.

출산에 임박했을 때 발생하기도 하지만 임신 32주 전에 나타나는 경우도 많다. 보통은 아기보다 탯줄이 산도로 먼저 내려갈 때 압박된다. 이런 압박은 물론 출산 과정에서 더 흔하게 일어난다.

제대탈출로 인한 위험은 무엇일까?

탯줄은 엄마의 자궁에서 아기의 생명줄의 일부분이다. 영양소와 산소를 태반으로부터 공급해주는 역할을 한다.

결과적으로 탯줄이 오래 압박을 받을 때는, 혈류가 감소하고 산소가 공급이 적어진다. 다른 위험들은 아래와 같다.

  • 태아의 심장 박동의 변화, 특히 가변적인 속도 감소와 관련이 있다. 이 말은 아기의 심장 박동이 10분 이상 115bpm 이하로 떨어진다는 뜻이다. 이런 감속은 몇 분 동안 지속된다면 정상이지만 10분 이상은 아니다.
  • 아기의 혈압의 변화
  • 혈액에 이산화탄소가 생기고 축적되고 호흡성 중독증 발생
  • 산소 결핍이 얼마나 지속되느냐에 따른 뇌 손상의 위험
  • 압박이 일어나면서, 태아 저산소증이 발생 가능성에 따른 다른 건강 합병증 발생
  • 태아의 사망

제대탈출증이 태아의 건강에 미치는 손상은 압박이 얼마나 오래 지속되는지에 달려있다. 주요한 위험은 산소 결핍인데 사망으로 이어질 수가 있다. 대부분의 경우에는 의사들이 상황을 주시하고 대처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치명적인 결과가 나타나지는 않는다.

제대탈출증은 무엇일까?

진단과 치료

출산 전에 제대탈출증의 가능성을 진단하기 위해 의사는 몇 가지 검사를 할 수 있다. 태아 도플러 측정이나 초음파를 할 수 있다. 이런 검사 없이는 압박이 있다는 가능한 신호를 감지하기가 불가능하다.

일단 의사가 상황을 감지하면 주요 치료는 양막내 주입을 하는 것이다. 이는 자궁 안으로 염류 용액을 주입하는 것이다. 이 용액은 탯줄에 대한 압력을 완화하기 위해서 실온으로 맞추어 져야 한다. 이 절차는 제대탈출증이 출산 중에 발생했을 때만 가능하다.

압박이 경미하고, 임신 중의 다른 때에 제대탈출증이 일어나면, 의사는 산소 공급을 늘이는 시도를 한다. 다시 말하면, 의사는 탯줄의 혈류를 늘이기 위해서 엄마에게 산소를 공급한다는 뜻이다.

상황이 더 심각하면, 아기의 생명 유지 여부를 체크해야 한다.

아기가 괴로워하는 신호를 보이거나 심장 박동수가 떨어지면, 더 급진적인 조치가 필요하다. 임신의 어느 단계에서 일어나느냐에 따라, 의사는 아기를 구하기 위해서 제왕절개 수술을 할 수도 있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Moldenhauer, J. Prolapso del cordón umbilical. Manual MSD- Versión para profesionales. [En línea].
  • Sayed Ahmed, Waleed & Ahmed Hamdy, Mostafa. (2018). Optimal management of umbilical cord prolapse. International Journal of Women’s Health. Volume 10. 459-465. 10.2147/IJWH.S130879
  • Valenti, Eduardo A. Guía de procidencia de cordón. Revista del Hospital Materno Infantil Ramón Sardá. 2008, 27. [En línea] Disponible en:http://www.redalyc.org/articulo.oa?id=91211281005ISSN 1514-9838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